d라이브러리
"우선"(으)로 총 4,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교수팀이 영하 150℃에서도 얼지 않는 물이 있다는 걸 실험으로 확인했어요.연구팀은 우선 아주 가느다란 관에 물을 넣고 압력을 높였어요. 우리가 느끼는 공기의 압력이 1기압인데, 연구팀은 관 안의 압력을 2000기압까지 높였죠. 그리고 온도를 영하 190℃로 떨어뜨려 관 안에 넣은 물을 얼렸답니다 ... ...
- 변신 로봇이 뚝딱! 종이접기 과학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공간에서는 활짝 펼쳐서 많은 빛을 받을 수 있는 태양전지판을 떠올린 거예요.연구팀은 우선 일본의 천체물리학자 코료 미우라가 같은 목적으로 개발한 ‘미우라 접기’ 방식을 검토했어요. ‘미우라 접기’ 는 종이를 가로와 세로, 대각선으로 접어 사다리꼴 격자무늬를 만들고 지그재그로 접는 ... ...
- 생명력이 꿈틀꿈틀~! 생물의 구조와 기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9호
- 2. 우리 몸을 지키는 몸속의 구조우리 몸속도 식물처럼 여러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요. 우선 산소를 들이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 활동을 ‘호흡’이라고 해요. 폐, 기관, 기관지 같은 호흡 기관은 들이마신 산소를 우리 몸 구석구석으로 보내 에너지를 만들고, 몸에서 생긴 이산화탄소를 밖으로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반려견과 입맞춤을 해도 구강 내 세균 전염 가능성은 낮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우선, 사람과 개는 입속 환경이 달라 서로 다른 세균 집단을 갖고 있어요. 따라서 입맞춤으로 인해 세균이 개 입속에서 사람 입속으로 옮겨지더라도 살아남기 힘들다는 거예요. 게다가 사람은 주기적으로 양치질을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사망자 중 대부분이 브로드가에 있는 물 펌프로 물을 마셨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그는 우선 펌프의 손잡이를 제거했어요. 그러자 브로드가의 사망자가 크게 줄었지요.계속 조사해 본 결과, 콜레라 유행 직전에 한 주민이 콜레라로 죽은 아기의 똥 기저귀 빤 물을 펌프 근처에 있는 오물통에 버린 ... ...
- 10년의 대탐험 뉴호라이즌호, 명왕성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먼 거리를 가야 하는 만큼 뉴호라이즌호를 제작하는 데는 정밀한 기술이 필요했어요. 우선 탐사선 무게를 줄이기 위해 최소한의 연료로 최대한 멀리 갈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지요. 뉴호라이즌호에는 효율이 높은 수소와 질소로 이루어진 액체 연료 77kg이 실렸답니다.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7년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드론이 한몸처럼 움직일 수 있는 것은 모니터 위쪽에 있는 두 개의 기계 덕분이에요. 우선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키넥트’는 몸동작을 인식해요. 사용자의 몸에 적외선을 쏘아 반사되는 시간 변화를 측정해 몸의 움직임을 알아내지요. 그리고 이런 동작 정보를 컴퓨터로 분석해 드론에 무선 ...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 로봇, 휴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3호
- 만큼 DRC에 참가한 로봇들은 재난 상황에서 일어날 법한 다양한 임무를 해결해야 해요. 우선 로봇들은 직접 자동차를 운전해서 경기장에 도착한 뒤, 경기장 문을 열고 직접 들어가야 하죠. 경기장 안에서는 밸브 잠그기를 시작으로 드릴로 벽에 구멍 뚫기, 돌발 임무, 장애물 돌파하기, 그리고 마지막 ... ...
- 이탈리아 요리사 ‘ 피자나 고르곤졸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제발~!”미션1 피자 가게에 불을 켜라!썰렁홈즈는 피자가게의 문제를 파악하고자 우선 전등을 켜려고 스위치를 찾았다.이때, 피자나 고르곤졸라가 나서서 말했다.“여기 입구에 전등 스위치 3개가 있어요. 이 스위치는 각각 피자가게의 주방과, 창고, 그리고 화장실과 연결돼 있지요. 여기 ... ...
- 제2의 교토의정서 나올까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공통적으로 강조한 해결방안은 ‘에너지 절약’이다. 소비하는 에너지량 자체를 우선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이다. 윤순진 교수는 “우리는 에너지 낭비가 구조화된 삶을 살고 있다”며 “독일은 감축목표의 50%를 일단 소비에서 줄이고, 그 다음에 재생에너지, 저탄소 기술을 통해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