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주변을 돌면서 선명한 HD 영상을 전송했다. 또 ‘지형 카메라(Terrain Camera)’를 이용해 달 전체의 3D 지도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32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암의 흔적도 찾아냈다. ● 2008. 10. 22 직접적인 물의 증거를 찾다검게 보이는 분화구에 초록색 점들이 밀집해 있다. 인도의 첫 달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2% 감소한 것에 비하면 눈에 띄는 변화다. 그럼에도 현재 ISRU 분야의 연간 예산은 NASA 전체 예산(약 20조 원)의 2%에 불과하다. 이 교수는 “ISRU 분야는 이제 막 태동하는 미개척 분야”라며 “국가 안보상의 문제로 제약이 많았던 과거의 우주 개발과 달리, 실시간으로 국제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 ...
- [시사기획] 2019 미세먼지 전망 어디까지 알아냈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진 두 장을 보여줬다. 2014년 2월 말과 3월 초, 동일한 장소를 찍은 사진이다. 한 장은 전체적으로 뿌옇지만 건물이 또렷하게 보이고, 다른 한 장은 건물 윤곽조차 보이지 않을 만큼 흐릿했다. 이들 사진이 찍힌 날 PM2.5(지름 2.5μm 이하인 미세먼지, 보통 초미세먼지라고 부른다)의 농도는 각각 109μg ... ...
- Part 5. 우리은하 - 미지의 세계를 향해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름을 붙였지요. 아직까지 암흑물질에 대해선 알려진 바가 거의 없어요. 우주 전체의 27%를 이루고 있을 만큼 거대한 양이지만, 이 물질을 본 사람은 아무도 없죠. 1년 전,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이 우리은하에 있는 10억 개의 별을 탐사하던 중 은하를 역주행하며 태양계 근처를 지나치는 ... ...
- Part 1. 한국 수학자 152명이 고른 ‘타임캡슐에 담을 수학’은?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혁명적’인 변화를 불러일으켰기 때문이다. 아니, 수학사가 아니라 인류 역사 전체의 지각변동이라고 할 수 있다! 자연의 법칙을 설명하는 유일한 언어 흔히 미분과 적분을 ‘미적분’이라고 부르며 하나로 묶인 반대의 개념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미분은 변화율을 나타내는 방법, ... ...
- [에디터노트] 더 넓은 창으로 보는 과학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은 이보다 가로세로를 1~3mm 늘린 판형(203.2×266.7mm)을 쓴다. 전체가 92쪽으로 부피가 작아 잡고 읽기 편하다. 판형의 교체는 단순히 모양이나 휴대 편이성의 변화를 뜻하지 않는다. 판형을 바꾸는 것은 안에 담을 콘텐츠의 혁신적 변화와 디자인의 개선을 의미한다. 과학동아는 ...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장소로 식물을 이동시킨다. 식물이 바퀴를 조종하는 셈이다. 사린 연구원은 “식물은 몸 전체에 생체 전기화학적 메시지를 끊임없이 보내는 전기 활성 시스템으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식물(자연)에 존재하는 능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식물”이라며 “이를 응용하면 식물 스스로 환경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5년 결실을 맺었다. 재래돼지 수컷과 축진듀록 암컷을 교배하기 시작해 3세대를 거치면 전체 유전자의 37.5%는 재래돼지, 나머지 62.5%는 축진듀록의 것으로 구성된 개량돼지가 탄생한다. 그 뒤 균일한 크기의 우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3세대를 더 거쳐 최종적으로 개량돼지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 비행기는 움직이는 부분이 없으며 거의 소음이 나지 않는다. 우리가 만든 비행기는 전체 무게가 약 5파운드(2.45kg), 한 쪽 날개의 길이가 15피트(약 5m)이며 약 180피트(약 60m)를 날았다. 물론 아직 이 비행기는 화물을 운송하거나 사람을 실어 나르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우리는 공기보다 더 ...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단백질과 콜레스테롤, 탄수화물이 꽂혀있다. 이 중 인지질은 1970년대까지만 해도 세포 전체를 둘러싸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는 단순한 역할만 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하지만 이게 전부가 아니었다. 무엇보다도 인지질은 신경신호 전달의 핵심인 이온 통로와 직접 결합해 신경물질 전달을 조절하는 ... ...
이전1061071081091101111121131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