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체"(으)로 총 6,9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장소로 식물을 이동시킨다. 식물이 바퀴를 조종하는 셈이다. 사린 연구원은 “식물은 몸 전체에 생체 전기화학적 메시지를 끊임없이 보내는 전기 활성 시스템으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식물(자연)에 존재하는 능력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식물”이라며 “이를 응용하면 식물 스스로 환경의 ... ...
- [프리미엄 리포트] 내 모든 걸 다 줬는데, 날 미워하면 안 ‘돼지’ 인류를 구원한 돼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015년 결실을 맺었다. 재래돼지 수컷과 축진듀록 암컷을 교배하기 시작해 3세대를 거치면 전체 유전자의 37.5%는 재래돼지, 나머지 62.5%는 축진듀록의 것으로 구성된 개량돼지가 탄생한다. 그 뒤 균일한 크기의 우수 품종을 선발하기 위해 3세대를 더 거쳐 최종적으로 개량돼지를 얻었다. 연구팀은 이 ... ...
- [이달의 PICK] 삼겹살 기름으로 화력 발전? 석유 대신할 바이오중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싶어 산업통상자원부와 논의 중이다. 이 경우 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는 LNG를 포함해 전체 연료를 청정연료로 쓰게 된다. 김 차장은 “우선 6000시간 동안 발전에 사용해보고 효과가 있으면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주변을 돌면서 선명한 HD 영상을 전송했다. 또 ‘지형 카메라(Terrain Camera)’를 이용해 달 전체의 3D 지도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32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암의 흔적도 찾아냈다. ● 2008. 10. 22 직접적인 물의 증거를 찾다검게 보이는 분화구에 초록색 점들이 밀집해 있다. 인도의 첫 달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2.2% 감소한 것에 비하면 눈에 띄는 변화다. 그럼에도 현재 ISRU 분야의 연간 예산은 NASA 전체 예산(약 20조 원)의 2%에 불과하다. 이 교수는 “ISRU 분야는 이제 막 태동하는 미개척 분야”라며 “국가 안보상의 문제로 제약이 많았던 과거의 우주 개발과 달리, 실시간으로 국제 협력이 이뤄지고 있는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있다”며 “이번에 개발한 박막전지는 폴리이미드 기판과 세라믹 전도체를 사용해 전체가 고체로 이뤄져 있어 그런 위험이 없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구팀은 박막전지에서 눈의 동공 부분을 뚫어 시야를 확보한 상태다. 최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시야를 전혀 방해하지 않는 완전히 투명한 ... ...
- [핫이슈] 마지막 모험, 함께 해줄래? 드래곤 길들이기 3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과거 석회암 지역이 해수면이 높아지면서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돼요. 바다는 지구 전체의 71%를 차지하지만, 인류가 탐험한 바다는 5% 정도에 불과해요. 과학자들은 수중 로봇을 개발하는 등 아직 가보지 못한 바닷속 ‘히든 월드’를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 단서를 알려줘서 고마워!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이런 하늘길은 웨이포인트(Way Point)를 중심으로 만들어져요. 웨이포인트는 우리나라 전체를 기준으로 지역별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정한 특정 점이에요. 항공기가 주변의 관제탑과 수시로 교신하며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비행기는 어떤 지역으로 이동하든지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지역에 걸쳐 있는 대규모 복합 시스템이지요. 따라서 발사대팀은 발사에 필요한 과정 전체를 이해하고, 각 부분의 담당자와 수시로 만나서 상의하고 협의해야 해요. 마치 여러 악기를 조율해 아름다운 화음을 내는 오케스트라처럼 말이지요. 발사대 시스템 개발 담당자들은 기나긴 개발과정을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수 있답니다. 그런데 사람은 L원뿔세포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어요. S원뿔세포는 전체의 5% 정도로 가장 적고, M원뿔세포와 L원뿔세포는 사람마다 그 비율이 다르지만 L이 더 많지요. 이때문에 사람은 긴 파장대의 빛인 빨간색을 가장 잘 인식한답니다. ● 후보 2 박영경 기자 - 바르게 쓰자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