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 (정진원 삼성SDS EMS팀 기획파트장)과학동아 l201311
- 갈 수 있었습니다. 대본은 인터넷에 있고, 영상도 구할 수 있으니 마음만 먹으면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었습니다.” 그는 ‘모던 패밀리’라는 미국 드라마를 추천했다. 시트콤이기 때문에 학생들이 보기에도 재미있고, 또 일상에서 쓰는 용어가 나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회화능력을 늘리는데 ... ...
- 주경야독 철도원, 나노분야 대가로 성장하다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학과 및 에너지과학과 교수)과학동아 l201311
- 밤 늦게까지 연구실에 남아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게 버틸 수 있는 것도 꾸준한 운동 덕분이다. 그의 인생 최종 목표는 무엇일까? “인생 최종 목표요? 어느 연구자나 마찬가지겠지만 좋은 연구성과를 내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인생의 최종 목표가 뭐다라고 딱 말할 수 없을 것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11
- 연구 성과도 내지 못할 겁니다. 요즘 유명한 저널에 실리는 논문들 보세요. 특히 생물학 분야 연구논문들을 보면 관련 저자들이 보통 20명은 넘습니다. 협동연구를 할 줄 모르는 독불장군은 좋은 연구 성과도 내지 못합니다.” 이와 함께 그는 연구자에게 필요한 창의적 사고는 ‘용기’에서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11
- 했다. KHR-2 2003년 휴보의 실험용 모델. 사실상 로봇 휴보가 가지고 있는 기능을 거의 대부분 가지고 있다. 몸체가 다소 더 무겁고, 출력이 다소 약한 것이 흠이다. 휴보 (KHR-3) 2004년 KHR-1이나 KHR-2가 실험용 로봇이라면 이 로봇은 개발을 끝마친 공개형 로봇이다. 공식적으로는 한국 최초의 두 발로 걷는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11
- 아직까지 에파고긱스의 인공신경망 분석 기법을 크게 활용하지 않는다. 컴퓨터 분석이나 데이터보다는 경험을 더 신뢰하기 때문이다.그런데 지난 2007년에는 인공신경망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제작했던 영화가 실패하면서 큰 손해를 입기도 했다. 드루 베리모어라는 유명 여배우가 등장한 라는 ... ...
- 보석 감정 현장 탐방 진짜 다이아몬드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311
- 산화납이 금속원소이기 때문에 유리보다 크리스탈이 훨씬 무겁고, 그 무게 차이로 구분할 수 있는 것이다.보석은 여자들만의 관심사인 줄 알았는데, 진위여부를 감정할 때 수학과 과학을 이용한다니 놀랍고 흥미로웠다.김선희 기자의 첨삭 포인트두 기자 모두 취재한 내용을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잘 ...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과학동아 l201311
- 이들은 작은 갈고리로 뒤덮인 기다란 혀를 이용해 개미를 붙잡아 먹는다. 혀놀림도 빨라 1분에 150번이나 움직일 수 있다.➌ 로지 립 뱃피쉬키스하고 싶은 입. 이 물고기의 빨갛고 도톰한 입술은 섹시한 여성의 입술을 떠올리게 한다. 사람을 유혹하려는 것도 아닐 텐데 어쩌다 이런 입술을 갖게 ...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과학동아 l201311
- 못해 체온이 올라가면 혀를 내밀고 헉헉거린다. 공기를 움직여 혀와 폐의 표면에 있는 수분을 증발시켜 온도를 낮추고 몸 안의 뜨거운 공기를 밖으로 빼내기 위해서다. 다람쥐나 햄스터 같은 동물은 입 안에 주머니가 있다. 그래서 여러 번 돌아다니지 않고 한꺼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모아서 보관할 ... ...
- 이른새벽, 자연의 보석을 입다과학동아 l201311
- 잠겼다.이처럼 영롱한 보석 같은 곤충은 쉽게 포착되는 것이 아니다. 해 뜨기 전, 단 5분 동안만 만날 수 있다. 프랑스의 사진작가 데이비드 챔본은 매일 그 순간을 기다려 환상적인 자연의 아름다움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 ...
- ‘숙면이 보약’, 잠잘 때 뇌 속 독성물질 ‘대청소’과학동아 l201311
- 먼저 쥐의 뇌파를 측정해 잠든 것을 확인한 뒤, 뇌 척수액에 녹색 염료를 주입했다. 30분이 흐른 뒤, 다시 쥐를 깨워서 빨간 염료를 주입했다. 두 염료의 흐름을 각각 레이저 현미경으로 촬영해 비교한 결과, 쥐가 자고 있을 때 뇌 척수액이 흐르는 조직 사이사이의 공간이 깨어 있을 때에 비해 60%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