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6,151건 검색되었습니다.
6500만 년 전, 공룡이 사라진 땅에 작은 원숭이가 나타났다
과학동아
l
201310
남부의 차드에서 나온 사헬란트로푸스 차덴시스의 두개골은 침팬지나 고릴라와는 구
분
되는 색다른 특성을 여럿 보였다. 인간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진화의 물줄기였다.인류는 결코 영장류 진화의 종착역이 아니었다. 아시아에서는 여전히 구세대 원숭이들이 진화하고 있었다. 남아메리카에서는 ... ...
식물도 쓰다듬으면 잘 자란다
과학동아
l
201310
보호층이 좀 더 통과하기 쉽게 변해 내부에서 각종
분
자가 배출됐다. 연구팀은 이런
분
자가 면역 반응에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와 비슷한 반응은 식물이 상처를 입었을 때도 나타났다. 이 연구는 학술지 ‘BMC 식물학’ 9월 13일자에 실렸다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10
하지만 진화는 어떤 방향에도 우열이 없는 줄을 안다. 늘 대비를 한다. 인류의 유전자는
분
리를 택한 뒤에도 다시 실험을 해 우리를 만들었다. 이곳에서도 유전자는 다시 실험을 해 너희들을 만들었다.유전자는 배움을 기록한다. 우리는 기호를 만들고 몸짓을 만들었다. 언어가 생겨나자 아이들은 ...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10
‘유한대칭군
분
류’를 세계 최초로 성공하며 그 연구 성과를 인정받았습니다. 수학
분
야의 최고 학술지인 ‘수학연보’(Annals of Mathematics)에 제 논문을 실었지요. 앞으로 고등과학원의 발전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거예요. 하지만 이와 더불어 앞으로도 수학자로서 연구의 끈을 놓지 않도록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0
만족하세요.벌집 근처에는 가지 마세요꿀과 꽃가루를 찾아 나온 수집벌은 바빠서 여러
분
한테 신경 쓸 시간이 없어요. 그렇지만 벌집에 있는 꿀벌은 조금 다르답니다. 벌집에 가득차 있는 꿀과 애벌레를 지키기 위해 경비벌들이 목숨을 걸고 덤빌 수 있어요.특집 한 걸음 더 밀원식물 찾고 긴자벌꿀 ... ...
[W5 코드 브레이커] 해커와의 한판 승부, 사이버 정보 전쟁
수학동아
l
201310
3월 20일 오후 2시 15
분
, 국내 몇몇 방송국과 은행의 전산망이 마비되는 사고가 일어났습니다. 정부 조사팀은 3주 뒤 북한 해커들이 이번 사건을 저질렀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지요.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국제 해커 집단에서 북한에 해킹 공격을 하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최첨단 암호와 보안기술을 ... ...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10
젖지 않는 이유는 뭘까. 연잎 표면에 무수히 돋아있는 나노크기(1나노미터는 10억
분
의 1m)의 연잎 돌기가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막기 때문이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팀은 이런 연잎효과를 이용해 빛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광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연구진은 연잎 표면을 덮고 있는 ... ...
수학캠핑 - ➎ 마술적인 숫자 배열, 마방진
과학동아
l
201310
벌어진 집현전 학사의 살인사건을 그린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는 세종 이도(송중기
분
)가 세자 시절 마방진을 풀려고 몰두하는 장면이 나온다. 태종 이방원(백윤식
분
)은 그런 이도를 보면서 “이래서 방진은 그냥 방진이라 하지 않고, 마귀 마(魔)자를 붙여서 마방진이라 하는 게지요. 마귀에게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
과학동아
l
201310
함께 시추 구멍과 파이프 사이의 좁은 빈 공간을 따라 시추선 위로 운반된다. 암석조각을
분
석해 지질이나 가스 함량을 파악한다. 차가운 진흙물은 마찰로 뜨거워진 드릴 비트를 식히는 냉각제 역할도 한다.“내 평생 한번은 석유 시추 성공하고 싶어”최근에는 최대 수심 3600m에서 시추할 수 있는 제 ... ...
별 세계도 ‘저출산 고령화’
과학동아
l
201310
있는 곳을 폭넓게 관측해 오늘날 태어나는 별의 수는 과거 정점을 맞이했을 때의 30
분
의 1 수준이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지금까지 태어난 별의 절반이 정점을 전후한 20억 년 사이에 태어났으며, 앞으로 우주에서 태어날 수 있는 별은 현재 있는 별의 5% 수준이라는 내용이었다. 우주의 노령화 문제가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