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섞인 성에 대한 통념들의 존재는 무엇을 의미하는 걸까? 뉴질랜드 웰링턴 대학의 심리학자 Devon Polaschek는 기존 연구들을 종합해 성범죄자들에게서 크게 다섯 가지의 왜곡된 사고방식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Polaschek & Gannon, 2004; Polaschek & Ward, 2002). 1) 여성은 알 수 없는 존재라는 생각 2) 여성은 성적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무엇일까? 허용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캐나다 캘거리 대학(University of Calgary)의 심리학자 Chelsea Willness 등은 직장 내 성폭력에 대한 41개의 기존 연구들을 분석하며 다음과 같은 발견을 했다. 우선 많은 연구들에서 ‘성폭력을 용인하는 조직의 분위기’를 문제로 지적했다고 한다 [5]. 성폭력 관련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 많은 감귤류는 다 어디서 왔을까2018.02.27
- 어떻게 나왔는지를 기록한 문헌이 거의 없지만 유형3 만다린의 몇몇은 20세기 들어 원예학자들이 교배를 통해 만든 것이라 계보가 잘 정리돼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물론 이를 잘 뒷받침한다. 두 논문을 읽으며 필자는 문득 한라봉과 천혜향의 족보가 궁금해져 알아봤는데 실망스럽게도 둘 다 ... ...
- [표지로 읽는 과학] 최초의 네안데르탈인 벽화 발견, 그리고 그 이후동아사이언스 l2018.02.25
- 연대측정된 달 월(月)자 형상의 왼쪽 선의 탄산염을 학자들이 조사하고 있다. 일부 학자들은 이 그림 중 오직 선 하나만 네안데르탈인 시대로 측정돼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사진 제공 사이언스 반면 몇 가지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는 신중파도 있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해당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족한 의지력을 탓하지 마세요2018.02.24
- 스트레칭을 한다’ 같은 습관을 만들어서 자기통제를 ‘자동화’ 시키기를 권장하는 학자들도 있다(Achtziger et al., 2008). 인간의 의지력이란 원래 약점이 많은 것이기 때문에 나는 왜 이렇게 의지력이 약할까 탓하지 말자. 그보다 지금 나의 환경에 목표 달성을 방해하는 요소들, 예컨대 목표 외에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공격 때문이 아니라는 게 저자들의 주장이다. 미국 영양학자들에 맞서 싸우는 자국 과학자의 주장을 지켜보던 영국 정부는 마침내 유드킨의 주장을 제대로 검증해보기로 하고 의료연구위원회가 주관해 팀을 꾸려 연구를 수행했지만 심장마비 환자들이 설탕을 과다섭취하는 경향이 있다는 유드킨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난과 불공정2018.02.17
- 죄가 아니라거나 꿈을 크게 꾸라고 설교하고 있는 건 아닌지 생각해보게 되었다. 심리학자 갈린스키는 권력은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힘일뿐 아니라, 주변으로부터의 원치 않는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는 힘이라고 정의했다(Galinsky et al., 2008). 자율성과 주체성도 재력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이, 건강이, 성공이 정말 당연해?2018.02.10
- 겸손한 현실지각을 하게 된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심리학자 Laura J. Kray 등은 사람들에게 지금의 삶을 이루기까지 어떤 일들이 중요한 영향을 미쳤는지, 만약 그 일이 일어나지 않거나 잘못될 수도 있었는지, 만약 그랬더라면 지금의 삶이 어떻게 달라졌을 지에 대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구글은 왜 벌거숭이두더지쥐에 주목했나2018.02.06
- 사망률이 나이에 듦에 따라 지수함수의 곡선으로 증가한다는 이론으로 19세기 영국의 수학자 벤자민 곰페르츠가 제안했다. 보통 흡연이나 활동부족(정적인 생활습관)이 사망률을 높이는 주요 원인으로 꼽히지만 사실 가장 상관관계가 큰 원인은 나이다. ‘세월 앞에 장사 없다’는 말이 있듯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적당한'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 2018.02.03
- 도망을 유발하고 화가 복수를 유발하는 것처럼, 걱정은 계획과 준비를 유발한다는 것이 학자들의 의견이다 (Sweeny & Dooley, 2017). 걱정은 항상 쓸데없는 것이라는 생각과 달리 걱정이 필요할 때가 있다.(사진-GIB제공) 걱정은 심적 충격에 대한 대비이기도 하다. 실제로 나쁜 일이 일어났을 때 평소 그 ... ...
이전1071081091101111121131141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