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2017.11.29
- 것은 아직은 먼 목표이지만 뇌를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보는 시각은 보편화됐다. 최근 과학자들은 뇌의 활동 패턴을 네트워크 모형의 하나인 그래프 이론(graph theory)으로 분석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뇌 네트워크는 몇 개의 덩어리, 즉 모듈(module)로 나눌 수 있고 각 모듈은 또 여러 노드(node), 즉 기능 ... ...
- [ 지뇽뇽의 사회심리] 겸손이란 뭘까2017.11.25
- 겸손이라고 하면 소심하거나 자신감이 없는 태도와도 관련이 있을 것 같다. 하지만 학자들에 의하면 겸손한 사람들은 자신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기보다 비교적 ‘정확’하게 바라보는 경향을 보인다(Tangney, 2000). 자존감이 낮거나 우울증을 보이는 사람들의 경우 자신을 지나치게 과소평가하는 ... ...
- 할로윈과 유령의 과학 2017.10.30
- 자신 외에 누군가가 있다는 ‘존재감’을 느끼는 것입니다.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신경학자 기울리오 로그니니는 이러한 특별한 ‘존재감’을 로봇으로 구현해 봤습니다. 연구팀은 누군가 있는 듯한 오싹한 경험에 대해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정신질환에 대한 단서를 제기해주면서 의식의 ... ...
- 꼭 외향적인 사람이 좋은 리더일까2017.10.22
- 외향적인 사람들이 리더에 걸맞는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난다(Spark et al., 2018). 심리학자 아담 그랜트의 연구에 의하면 수동적이고 일에 별로 의욕이 없는 구성원들이 많은 조직에서는 목소리가 크고 카리스마가 넘치는 외향적인 사람들이 그룹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경향이 나타났다(Grant et al., 20 ... ...
- ‘나는 멋진 사람’이라고 생각하면 정말 자존감이 높아질까2017.10.14
- ’같이 삶과 자기 자신에 대해 다소 현실적인 생각을 갖는 것이 훨씬 건강하다고 보는 학자들이 있다 (Neff, 2003). 또는 내가 믿지 않는 이야기보다 진심으로 믿고 있는 나의 한 두가지 장점(예, 지금까지 그럭저럭 잘해 왔잖아. 내가 끈기 하나는 좋잖아)을 떠올리거나, ‘소망’ - 예컨대 ‘내가 좀 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2017.10.10
- 약자) 프로젝트를 진행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장치 설계를 두고 실험물리학자인 바이스와 드레버의 입장차가 워낙 커 일이 진전되지 않자 연구비를 대는 미국립과학재단(NSF)이 해결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 ...
- 삶이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3가지 방법2017.10.06
- ’이라고 하게 될 것만 같다. 그런데 정말 그럴까? GIB 제공 수십년간의 연구들 끝에 학자들은 사람이 자신의 삶을 허무하지 않고 '의미있다'고 느끼기 위해 크게 세 가지 요소가 필요함을 밝혔다. 하나는 단기적 목표 달성과 별개로 내 삶에 궁극적으로 더 큰 어떤 목적이 존재한다는 ‘목적 의식 ...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동아사이언스 l2017.09.27
- 거세지고 있다. ● 맨틀의 상승으로 백두산 생성, BMW모델 백두산은 세계적으로 학자들의 관심이 높은 화산이다. 화산은 크게 판이 모이는 수렴경계나 판이 멀어지는 발산경계 또는 열점 등 세곳에서 생성되는데 백두산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육상화산이기 때문이다. 일본 도호쿠대 자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석봉 모친이 초롱불을 끄고 떡을 썬 까닭은...2017.09.26
- 대한 에세이를 준비하면서 한 번 읽어볼만한 책을 발견했다. 미국 스탠퍼드대의 심리학자 캐롤 드웩이 쓴 ‘Mindset’이란 책이다. 여성들이 수학이나 물리학, 철학을 기피하는 경향이 큰 건 이런 학문이 천재의 몫이고 천재는 남자라는 ‘고착된 마인드세트(fixed mindset)’에서 비롯된다며 이런 심리를 ... ...
- 내향적 성격인 나, 비사회적인 사람일까?2017.09.24
-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다(Silvia & Kwapil, 2011).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의 심리학자 Silvia와 동료들의 연구에 의하면 사회적 욕구가 비교적 적거나 없는 사람들이 드물지만 존재한다. 이를 비사회성(asociality)라 부르며 비사회성은 내향적이거나 사회공포증(social anxiety)이 있거나 부끄러움이 많은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