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학자"(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력한 폭발 전력 백두산...남북 공동 연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2018.02.01
- 현 대한지질학회 이사)는 “백두산의 밀레니엄 대폭발 흔적은 일본이, 그 규모는 중국 학자가 밝혔다”며 “중국 주도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백두산은) 국제적으로 중국식 명칭인 '장백산'으로 불리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과 동해 명칭을 두고 논란이 있었듯 손놓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판단하지 않고 받아들이는 연습 2018.01.27
- 새소리에 집중해 불안과 우울 등을 줄이는 등 정신건강에 도움 되는 연구를 하는 학자들이 있다 - pixabay 제공 심리과학지(Psychological Science)에 실린 한 연구에 의하면 이런 명상이 자신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도 따듯한 태도를 보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Condon et al., 2013). 참가자들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상상을 통해 실현되어 버린다. (사진=pixabay) 자기 개념(self-concept)이란? 예일 대학의 심리학자 패트리샤 린빌 (Patricia Linville)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 참가자들에게 사람의 특성을 설명하는 다양한 표현(성실한, 게으른, 반항적인, 활발한, 조용한, 충동적인, 유머러스한 등)이 담긴 33장의 카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9000년 전 사냥개의 활약상 생생하게 묘사된 암각화 감상법2018.01.09
- 이게 뭘 의미하는지 궁금해진 구아그닌 박사는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동물고고학자 안젤라 페리 박사를 방문했다. 이제부터 8000~9000년 전 개와 사람이 한 팀을 이뤄 사냥하는 장면을 담은 슈와이미스의 암각화를 하나씩 살펴보자. 실수를 피하기 위해 그림 번호는 논문을 따른다. [그림3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남의 시선과 의무감을 벗어던질 때 최고의 성과가 나온다 2018.01.06
- 자아실현에 한 발짝 더 다가갔다는 충만함과 의미감을 느끼는 현상이 나타난다. 심리학자 칙센미하이(Mihaly Csikszentmihalyi)는 다수의 연구를 통해 뛰어난 기량을 보이는 사람들의 다수가 타인의 시선에 대한 걱정이나 의무감 등에서 벗어나 일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경험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
- 슬픔을 꽤 잘 견디는 사람들의 패턴 2017.12.23
- 괜찮았다가 훨씬 나중에 슬픔이 몰려오는 경우 (이 패턴의 존재에 대해서는 아직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다고 한다), 3) 만성적 슬픔: 시간이 지나도 계속 강한 슬픔을 보이는 경우, 4) 향상: 상실 후 되려 신체적/정신적 건강 지표들이 향상되는 경우 등이 그것들이다. ● 관계의 질, 의존성, 삶과 ... ...
- [지뇽뇽 사회심리] 숙련 VS 성과2017.12.16
- 통해서만 배울 수 있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GIB 제공 ● 숙련 목표 VS. 성과 목표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태도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하나는 눈앞의 성과에 일희일비하기보다 장기적인 시각을 갖고 최종 ‘숙련도’, 즉 그 일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배우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기다리다 지친 과학자, 반합성(semi-synthetic) 생명체 만들다!2017.12.06
- 사이트를 방문자의 34%가 그해 최고의 연구성과로 뽑아 1등을 차지했다!). 최근 화학자들은 세 번째 염기쌍이 포함된 유전자를 집어9넣은 생명체가 이를 온전히 복제하고 전사하게 만드는데 성공했다. 왼쪽은 세 번째 염기쌍(X:Y)이고 오른쪽은 기존 염기쌍(A:T)의 구조다. - 네이처 제공 A:T, G:C에 이어 ... ...
-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얼음 사태' 그 원인은?동아사이언스 l2017.12.03
- 존재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빙하가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예측할 수 없다. 지금도 많은 과학자들은 언제 무너져 내릴 지 모르는 위험한 빙하 주변에서 연구 중이다. ... ...
- 지뇽뇽 사회심리 I 끝없는 자기 비난은 도망의 다른 이름2017.12.02
- 용서하고 새로운 기회를 주듯 자기 자신 또한 용서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Tangney의 표현에 의하면 “용서할 수 없는 타인과는 안 보면 그만이지만 용서할 수 없는 나와는 안 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Tangney, J. P., Boone, A. L., & Dearling, R. (2005). Forgiving the self: Conceptual issues ... ...
이전1081091101111121131141151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