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동형암호를 제어 시스템의 보안 기술에 적용해 실제 테스트까지 마친 경우는 세계
최초
”라고 말했다. 이 내용은 국제학술지 ‘IEEE 액세스’ 3월 26일자에 게재됐다. ‘근사계산’ 기법으로 연산 한계 개선이번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느린 연산 속도가 단점으로 꼽히던 동형암호를 실시간 ... ...
인공어초 파헤치기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어떤 수학이 잠겨 있는지 함께 들어가 볼까요? 인공어초는 어떻게 만들지?우리나라
최초
의 어초는 1971년에 만든 사각형어초입니다. 이후 40년 넘게 많은 사람이 인공어초를 연구했지만, 2018년 현재 특허를 받고 일반어초★로 등록된 건 총 79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인공어초를 설계하는 과정이 ... ...
도넛 위에서 게임을? 틱택토의 무한변신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
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바둑판 위에 검은색, 흰색 바둑돌을 번갈아 가며 놓고, 같은 색 돌 다섯 ... ...
[과학뉴스] 마그마 흔적 따라 철광석 광산 찾는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있었다. 나무르 교수는 “화산 지대에서 철광석 매립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밝혀낸
최초
의 실험 증거”라며 “두 층으로 분리된 마그마의 흔적을 추적해 새로운 철광석 광산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8-03761- ... ...
[과학뉴스] ‘치매 단백질’ 연결고리
최초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뇌 속에 베타아밀로이드라는 단백질이 쌓이면서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으면 신경세포 안에 ‘타우 단백질’이 쌓인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하지만 이 두 단백질 사이의 연결고리는 밝혀지지 않았다.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등 종합적인 능력을 갖췄을 때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업체인 이노룩스는 세계
최초
로 자동차용 미니 발광다이오드(LED)를 선보였다. 미니 LED는 칩 크기가 100~20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수준인 디스플레이로 칩 하나를 화소 하나로 활용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개발 중인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편지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정리해서 보냈습니다. 이것이 랭글란즈 프로그램에 관한
최초
의 문헌입니다. 사실 베유가 랭글랜즈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깊이 이해했던 것 같지는 않습니다. 1960~1970년대만 하더라도 정수론을 연구하는 수학자는 랭글랜즈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표현론과 조화 ... ...
최초
의 미적분학 입문서, 이탈리아 청년을 위한 미적분학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설명합니다. ‘아녜시의 마녀’로 유명한 곡선은 1권 381쪽에 실려 있습니다.
최초
의 미적분학 입문서아녜시가 살았던 시대는 아직 미적분학이 생겨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라 수학계가 뉴턴파와 라이프니츠파로 나뉘어 있었습니다. 학파에 따라 용어는 물론 표기방식도 달랐기 때문에 ... ...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그밖에 스파이더맨에 등장하는 악당 리저드(생물학)와 그린 고블린(로봇공학, 생물학),
최초
의 흑인 슈퍼 히어로라는 블랙 팬서(비브라늄 슈트) 등도 과학적 능력을 가진 캐릭터로 그려집니다. 히어로나 악당의 전공이 로봇공학이나 생물학에 쏠린 것처럼 느껴지는 건 저 뿐일까요 ... ...
[과학뉴스] 스펀지가 물 빨아들이는 원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교수팀이 스펀지와 빵 같은 다공성 셀룰로오스 소재가 액체를 빨아들이는 원리를 세계
최초
로 밝혀내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3월 31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셀룰로오스는 포도당으로 이뤄진 섬유질로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이다. 연구진은 스펀지가 물을 흡수하는 과정을 전자현미경으로 ... ...
이전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