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수술로봇연구실을 이끄는 홍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국내 최초로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수술 내비게이션에 접목했다. ‘포켓몬 고’처럼 눈앞에 장기 나타나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시야에는 종양, 혈관 등의 안쪽 부위는 보이지 않는다. 수술 내비게이션은 ... ...
- [인터뷰] “파격적인 입학전형이 DGIST의 경쟁력”과학동아 l2018년 04호
- 014년 국내 최초로 무학과 단일학부 체제로 개교한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는 입학전형에도 파격적인 형식을 도입하고 있다. 정해진 질문이나 형식 없이 작성하는 자기소개서, 성적을 가린 블라인드 서류평가, 그룹토의 면접이 그것이다. 최지웅 입학처장(정보통신융합전공 교수)에게 DGIST만의 ... ...
- 최초의 수학문화관, 문을 열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018년 3월 14일 파이데이(π - day)에 우리나라 최초의 수학문화관인 ‘경남수학문화관’이 경상남도 창원에 문을 열었다. 수학을 삶에 유용한 학문으로 만들자는 취지의 수학문화를 퍼뜨리는 중추 역할을 할 계획이라고 한다. 경남수학문화관을 직접 찾아가 봤다. ‘놀이기구인가 ... ...
- Part 1. 남극에서 보물을 찾는 사람들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후 1985년 11월 한국해양소년단연맹이 조직한 ‘한국남극관측탐험단’이 우리나라 최초로 남극 땅을 밟는 데 성공했답니다. 이들은 남극 최고봉인 빈슨 매시프에 오르고, 칠레 프레이기지와 중국 장성기지를 찾는 등 남극 대륙을 탐험했어요. 이듬해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33번째로 남극조약에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대통령 선출 소식에 ‘쇼크’라는 단어가 함께 사용된 건 아마도 트럼프 대통령이 최초일 것이다. 미국정신의학회 윤리 강령 중 ‘골드워터 규칙’이 있다. 정신과 전문의는 자신이 직접 대면해 검사하지 않은 특정 공인의 정신 건강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의견을 제시하지 말라는 내용이다. 공인의 ... ...
- [인터뷰] DGIST 총장장학생 진종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성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자이드미래에너지상 고등학교 부문에서는 최초로 우수 연구사례로도 선정됐다. “계획서를 준비했던 기간과 상을 받은 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학업 시간을 많이 뺏겨 성적이 다소 떨어졌지만, 제 미래의 꿈과 연결돼 있는 활동이었던 만큼 끝까지 ... ...
- [시사과학 뉴스] 콜록콜록, 독감 환자 급증!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겨울 사람에게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주로 H1N1과 H3N2예요. 한편 B형 바이러스는 최초로 검출된 지역의 이름을 딴 ‘빅토리아형’과 ‘야마가타형’ 2가지로 구분된답니다. 보통 겨울(12월~2월)에 A형 독감이, 봄(3월~4월)에 B형 독감이 유행해요. 지난 2016년 12월에는 B형 독감이 한 건도 발견되지 ...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수식어도 붙었다. 미국의 영화 평가 사이트 로튼 토마토★에서는 마블 시리즈 최초로 신선도 지수 100%라는 놀라운 수치를 기록하며 마블 시리즈 중 역대급이라는 평가도 받았다. 한국에서 블랙 팬서는 ‘부산 팬서’로 통한다. 포스터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부산 광안대교와 마린시티, 자갈치 시장,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마블 최초로 흑인 슈퍼히어로가 주인공인 영화 ‘블랙팬서’가 최근 개봉했다. 특히 블랙팬서는 큰 비중을 차지하는 추격신을 부산에서 촬영해 한국 관객들에게 깨알 같은 볼거리를 선사한다. 블랙팬서는 아프리카를 비롯한 전 세계 흑인들의 인권을 지키기 위해 고뇌하는 와칸다 왕국의 왕이자 ... ...
- [교과연계수업] 과학 즐기며, 황금개 찾아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만나 보실까요? 위키미디어(Aruzhank NIS) 제공 1. 지구 최초의 우주 비행견, 라이카 지구 최초의 우주 비행견은 떠돌이 개 ‘라이카’였어요. 과학자들은 떠돌이 개가 추위와 굶주림에 이미 적응돼 있어 우주 공간에서도 잘 견디리라 생각했거든요. 1957년 11월 라이카는 세계 두 번째 인공위성인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