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세계
최초
복제 원숭이가 탄생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복제 양 돌리가 태어난 지 22년 만에 영장류에서 첫 복제 동물이 태어났어요. 지난 1월 25일 중국과학한림원 신경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체세포 핵치환 복제’ 기법으로 원숭이 두 마리를 복제했다고 밝혔어요. 이 원숭이들은 중국을 뜻하는 ‘중화(中華)’에서 한 글자씩 따서 ‘중중’과 ‘화화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능력도 타고나는 걸까. 최근 유전자가 인간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최초
로 나왔다. 사이몬 바론-코헨 영국 케임브리지대 자폐증연구센터장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진은 사람의 공감능력 변이의 약 10%가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중개정신의학(Translational Psychiatry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표현하는 로봇은 최근 세계적으로도 잇따라 주목받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세계
최초
로 명예 시민권을 받은 로봇 ‘소피아(107쪽)’는 올해 1월 말 한국을 방문해 각종 회의와 방송에 출연하는 등 화제를 모았다. 소피아는 2015년 핸슨로보틱스가 개발한 안드로이드다. 오드리 헵번의 얼굴을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회전 운동을 정교하게 제어할 수 있는 캐터네인 구조를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최초
의 분자기계가 탄생한 것입니다. 분자기계의 실용성 증명한 ‘로탁세인’고리형 분자들의 연결이 아닌 고리와 축이 연결된 분자기계도 개발됐습니다. 프레이저 스토더트 미국 노스웨스턴대 교수는 1991년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수술로봇연구실을 이끄는 홍재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로봇공학전공 교수는 국내
최초
로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을 수술 내비게이션에 접목했다. ‘포켓몬 고’처럼 눈앞에 장기 나타나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시야에는 종양, 혈관 등의 안쪽 부위는 보이지 않는다. 수술 내비게이션은 ... ...
Part 2. 수학, 과학을 바꾸다!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뒤 화학자가 됐고, 콘 교수는 수학과 물리학을 전공했거든요. 두 교수는 화학 분야에서
최초
로 ‘전산화학’에 관한 업적으로 노벨상을 받았어요. 전산화학은 분자의 움직임을 컴퓨터로 시뮬레이션해서 분자의 에너지 변화나 안정성 같은 화학적 성질을 계산하는 분야예요.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 ...
Part 3. 선수 맞춤 장비를 마련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위한 맞춤형 봅슬레이를 만들었어요. 2014년부터 연구에 들어간 현대자동차는 2015년 10월
최초
로 한국형 봅슬레이를 완성했지요. 그리고 1년 뒤,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사용할 봅슬레이를 국가대표팀에게 전달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금메달의 비밀은 ◯◯?! 평창 동계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스타 과학견, 연구하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확신할 수 없었지요. 그래서 구소련의 과학자들은 개를 먼저 보내 보기로 했어요. 지구
최초
의 우주 비행견은 떠돌이 개 ‘라이카’였어요. 과학자들은 떠돌이 개가 추위와 굶주림에 이미 적응돼 있어 우주 공간에서도 잘 견디리라 생각했거든요. 1957년 11월 라이카는 세계 두 번째 인공위성인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변신’한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세 가지 증거 중에서 마지막 한 가지를 2012년 세계
최초
로 발견한 ‘다야베이(Daya Bay)’ 실험을 주도한 인물이기도 하다. CEPC는 2022년 건설을 시작해 2030년 완공 예정이며, 건설비만 수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CEPC가 완공될 경우 LHC의 약 4배 규모로 세계 최대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고온을 견디지 못했다. 하지만 코오롱인더스트리가 2016년 이 문제를 해결하고 세계
최초
로 투명한 폴리이미드 필름을 개발하면서 가능성이 열렸다. 350도의 열을 견딜 뿐 아니라 접힌 부분의 반지름을 3mm로 만들고 20만 번을 접었다 펴도 흔적이 남지 않았다. 또 투명 폴리이미드 필름에 경도를 높여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