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입의 움직임과 입술 모양에 따라 발음이 결정된다”며 “자신의 발음이 이상하다면 혀의 위치나 입모양이 올바르게 형성됐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시옷(ㅅ), 지읒(ㅈ), 치읓(ㅊ) 등 혀가 입천장에 닿으면서 나는 치음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이 교수는 “치음 구사가 어려운 ... ...
- [검시관의 사건노트] 찰나의 순간 목숨을 앗아가는 감전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양철 지붕의 단면 외에는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손가락에 생긴 세 상처는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았다. 이런 점을 미뤄볼 때 왼손으로 전기가 빠져나가면서 터진 상처로 추정됐다.다음으로 머리를 살펴봤다. 정수리 부위에 전류반이 형성돼 있었다. 양철 지붕 끄트머리의 단면 모양으로 손상이 ... ...
- 어서 와~ 우주는 처음이지?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등비수열 형태가 됩니다. 물론 화성과 목성 사이에 24가 비어 있고, 천왕성과 해왕성의 위치는 정확한 등비수열을 이루게 하는 196과 388에서 벗어나기는 했지만 말입니다.놀라운 사실은 24에 해당하는 위치(28)가 비어 있는 것이 아니었다는 겁니다. 이 수열이 알려진 18세기에는 아직 소행성대와 ... ...
- Part 3. 안전성에 태클을 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그런데 복구 과정에서 더 많은 부분이 망가질 수 있다는 거예요. 또 가이드 RNA가 정확한 위치로 가지 않아서 엉뚱한 곳의 유전자를 교정할 수도 있답니다. 김형범 교수는 “크리스퍼는 아직 연구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안전한지, 제대로 작동하는지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검증이 필요하다”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대 방향으로 연료를 뿜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소화기의 분사량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영화처럼 빙글빙글 돌면서 정확한 위치에 다가가는 건 거의 불가능해요. 그렇다면 소화기로 추진력을 얻는 건 어떻게 가능할까요? 하늘로 솟아오르는 로켓을 생각하면 쉬워요. 카운트다운이 끝나면 로켓은 연료를 연소시켜 가스를 아래로 ... ...
- 전국 40개 학급을 도는 최적의 경로는?수학동아 l2019년 04호
- 90건의 신청이 모인 서울·경기에서 방문할 학교를 고르기란 쉽지 않았지요. 그래서 시간, 위치를 고려해 π-데이 행사를 하는 학교에 많이 갈 수 있고, 동선이 비교적 간단한 경기 하남과 구리시, 서울 일부 지역을 선택했습니다. 따라서 서울·경기와 세종·대전은 12개, 대구와 광주는 8개 학급을 ... ...
- Part 2.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가이드 RNA’가 붙어 있다는 거예요. 가이드 RNA는 유전자가위가 잘라야 하는 위치까지 길을 안내하는 역할을 해요. 가이드 RNA를 따라 목적지에 도착하면 붙어 있던 유전자가위 ‘Cas9’ 효소가 유전자를 교정하지요. 이 둘이 합체해 좀 더 정확하고 간편하게 유전자를 교정한답니다 ... ...
- [출동! 기자단] Nintendo Labo(닌텐도 라보), 골판지로 마법을 부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스위치에 까만 화면을 띄운 후, 정사각형 몇 개를 옮기고 선으로 연결했어요. “스위치를 이용해 직접 코딩도 할 수 있어요. 입력값과 출력값은 정사각형으로 표현돼 있고, 선으로 정사각형을 이어 회로를 완성하지요. 입력값의 종류로는 화면 터치나 조이콘의 움직임 등이 있고, 출력값은 소리와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165~172번을 9주기로 제안했다.이 교수는 “8주기 원소 각각의 최외각전자가 어느 오비탈에 위치할지는 더욱 정밀하게 계산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전자들의 움직임에 따라 이들 사이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인 전자 상관(electronic correlation)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7주기 원소까지는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어두워지기를 반복할 것이다. 소행성도 마찬가지다.이처럼 천체가 거리와 상대적 위치에 따라 밝았다가 희미해지는 밝기 변화를 그린 그림을 ‘광도곡선’이라고 부른다. 천문학자들은 광도곡선을 바탕으로 소행성의 비밀을 역추적한다. 이를 ‘광도곡선역산법(lightcurve inversion method)’이라고 ... ...
이전10911011111211311411511611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