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블랙홀의 그림자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그만한 크기의 구조가 있는지 확인하는 일종의 체(필터) 역할을 한다. 지구 곳곳에 위치한 망원경을 연결하면 다양한 길이의 기선을 얻게 되므로 천체로부터 오는 빛을 촘촘한 정도가 다른 여러 종류의 체로 걸러서 천체가 어느 정도 크기의 빛 덩어리들이 모인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차를 흔드는 힘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떠 있는 거예요. 스티로폼 공은 외부의 공기에 의해 갇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키트의 위치를 옮기면 공도 따라서 함께 움직여요. 이 원리를 응용하면 마치 공이 살아있는 것처럼 보여 더욱 실감나는 마술을 할 수도 있답니다 ... ...
- [이달의 PICK] 분노는 발명의 어머니? 난다 화가, 한다 발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기대되는 순간, 신호가 왔다. 상자의 GPS 기록이 로버에게 전송된 것이다. 최종 위치는 로버 집 주변의 공용주차장. 로버가 그곳으로 향했을 땐 바닥에 내동댕이쳐진 상자만 있었다. 로버는 공들여 만든 반짝이 폭탄 함정을 수거해왔다. 이제는 골탕 먹은 영상을 확인해볼 차례다. 한 남성이 택배를 ...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궤도에 안착했다. 이 궤도에서는 위성이 지구와 달 뒷면을 동시에 바라보면서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췌차오 위성은 중국 베이징에 있는 관제센터와 창어 4호의 교신을 중계한다. 창어 4호의 달 탐사차(로버)인 ‘위투(玉兎·옥토끼라는 뜻) 2호’는 앞으로 3개월간 지질층 및 지하수를 ... ...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기숙사 식당 밥에서 요리로 진화 삼시세끼 라이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학생회관(Tresidder Memorial Union)에 가면 중국 패스트푸드 음식점과 서브웨이 등 샌드위치 전문점이 있다. 미국에서 ‘핫’한 포케볼(신선한 채소와 작게 썬 참치, 연어 등을 양념과 함께 한 그릇에 담은 하와이 음식)이나 바비큐, 샐러드 등도 판매하고 있어서 훨씬 바깥 음식 같은(듯 하지만 같지 않은) ... ...
- [이달의 PICK] 숙제할 때 찾는 위키백과 서로 못 믿어서 내용이 정확해졌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유는? 당연히 글래디스 웨스트다. 1931년에 태어난 흑인 여성 수학자로, 초기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개발에 기여했다. 내가 그의 위키백과 페이지를 만든 뒤 웨스트는 BBC 선정 100대 여성에 뽑혔고, 미국 공군 명예의 전당에도 입성했다. 와우! 또 ‘내셔널 지오그래픽’ 최초의 여성 편집장이었던 ... ...
- [나의 영국 유학 일기] 땅값이 비싼 런던에서 대학교에 다닌다는 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집중할 수 있었다. 코스튬 스토어 기숙사가 갖는 가장 큰 장점은 값싼 생활비였다. 3존에 위치해 있어 방학 중 짐들을 맡겨 둘 창고의 가격도 다른 곳보다 쌌다. 15분 정도 걸어가면 대형 마트와 여러 은행들을 찾을 수 있는데, 특히 ‘아스다’라는 대형 마트에서 각종 식재료들을 아주 싼 값에 판다.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각종 센서를 이용해서 공간에 대한 지도를 그려요. 그런 뒤 센서를 통해 지도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해서 움직이죠.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해요. 그 중 잘 알려진 ‘A*’라는 알고리듬을 예로 들면 지도를 좌표 평면의 점과 선으로 이뤄진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20km 구간의 이동 거리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어요. 빙하가 갈라져서 생긴 틈인 크레바스의 위치를 확인하고, 이동 거리 사이에 중간에 머물 수 있는 기착지 두 곳을 정하며 안전한 길임을 확인했지요. 이런 노력들이 모여 K-루트가 확정되면, 앞으로 K-루트를 따라 제3의 남극기지가 건설될 ... ...
- [TECH] 카메라는 눈높이에 스피커는 어디에?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람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카메라 같은 장비는 눈의 위치에 배치하는 게 좋겠지요. 스피커는 가슴에서 입 사이에 배치해야 소리가 나오는 것이 자연스럽게 보일 것 같습니다. 안테나 같은 부품은 사람에게 없는 기능이기 때문에 상상력을 발휘해서 배치해야 합니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