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몸집이 비슷하며, 스테레오 카메라와 시각센서 라이다로 눈을 만들어 장애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2018년 여름도 한 교수에게 잊을 수 없는 시기다. 제자들과 함께 축구하는 로봇 ‘앨리스(Alice)’를 만들어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열린 ‘로보컵 대회’에 한국 최초로 어덜트 사이즈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이렇게 하면 DNA 조각들을 크기별로 줄 세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 위치한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를 보고 염기의 순서를 읽었습니다. 생어 박사는 이 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오파지(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DNA를 정확하게 해독했습니다. 이를 ‘생어 해독법(Sanger Sequencing)’이라고 ... ...
- [수학뉴스] 원자 배열의 미스터리 수학자가 풀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고체는 원자의 배열이 균일합니다. 덕분에 원자 하나의 위치를 알면 다른 원자의 위치도 알 수 있습니다. 반면 기체와 액체는 원자 배열이 일정하지 않아서 예측하기 어렵죠. 이런 어려움이 가장 심한 상태가 바로 액체와 기체가 만나는 경계입니다. 이전까지 과학자들은 이런 상태의 원자들을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물체를 구현한다. 그런데 건물이 아닌 자동차처럼 한 자리에 없고 움직이는 물체는 위치를 계속 추적하고 실시간으로 모델링해 공간에 만들어 넣어 줘야 한다. 이 교수는 “움직이는 물체를 표현하는 건 지금도 가능하지만 매우 어려운 기술”이라고 말했다. 한번은 허공에서 생긴 칼을 잡고 ... ...
- Part 4. 기사가 필요 없다 자율비행 택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돌고 있는 시침을 피해 이동하는 미션도 있어요. 드론은 출발하기 전, 모든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한 뒤 이를 통과하는 경로를 정해야 한답니다. Q 드론의 자율비행 수준은 어땠나요? 번외로 사람이 직접 드론을 조종해 같은 경로를 비행시킨 뒤 기록을 비교해 봤어요. 그 결과, 자율비행과 차이가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그 힘으로 무거운 로켓을 위로 들어올려요. 중력보다 더 큰 힘으로 로켓을 원하는 위치까지 들어올리기 위해선 충분한 시간 동안 연료를 태워야 하지요. 발사체의 실제 비행시간은 140초! 종합 연소 시험에서는 이 시간보다 14초 더 긴 154초 동안 엔진이 작동되었어요. 이번 시험발사체 최종 ... ...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ICAO)가 정한 특정 점이에요. 항공기가 주변의 관제탑과 수시로 교신하며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비행기는 어떤 지역으로 이동하든지 웨이포인트를 중심으로 경로를 만들고, 이동할 때 이 지점을 꼭 지나야 해요. 예를 들어 서울에서 제주도를 갈 땐 ‘DALSU’와 ‘DOTOL’ ... ...
- [가상인터뷰] 나방의 생존 전략은 ‘스텔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쏘기도 해. 그러면 박쥐가 쏜 초음파와 나방이 쏜 초음파가 합쳐져 박쥐들은 나방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없게 된단다. 또, 박각시 나방은 시속 50km 빨리 날 수 있어. 또 갑자기 비행경로를 바꾸거나 공중제비도 해. 박쥐의 추격을 따돌리기 위해서야. 일리 : 박쥐 말고 다른 포식자를 피하는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나오는 존재와 별을 연관시켰죠. 또, 별에는 많은 정보가 들어있어요. 별을 보면 자신의 위치뿐만 아니라 계절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거든요. 예를 들어 뱃사람들은 북극성을 보고 북쪽이 어디인지 파악한 후, 올바른 방향으로 배를 몰 수 있었어요. 고대 이집트의 농부들은 나일강이 범람할 시기가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연어였어요. 지난 11월 4일, 대원들은 강으로 돌아온 연어를 보기 위해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남대천에 모였어요. 남대천에서 펼쳐진 연어 특별 탐사 현장으로 가 볼까요? 대원들은 남대천이 잘 내려다보이는 다리 위에 올라섰어요. 남대천이 워낙 물이 얕고 맑은 데다, 연어의 몸집도 커 멀리서도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