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연어였어요. 지난 11월 4일, 대원들은 강으로 돌아온 연어를 보기 위해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남대천에 모였어요. 남대천에서 펼쳐진 연어 특별 탐사 현장으로 가 볼까요? 대원들은 남대천이 잘 내려다보이는 다리 위에 올라섰어요. 남대천이 워낙 물이 얕고 맑은 데다, 연어의 몸집도 커 멀리서도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10월 13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에 모였어요. 이날 대원들은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김수환 박사님으로부터 외래어종에 대한 특별 강의도 듣고 지사탐 어벤져스와 함께 민물고기 탐사도 했지요. 외래어종, 무엇이 문제일까? “큰입배스와 블루길의 고향은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수목원에 식물 탐정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미션은 ‘죽마로 열 걸음 걷기’였어요. 미션을 성공해 지도 스티커를 받아 표시된 위치로 가 보니 ‘만리화’가 있었지요. 미션을 완성해 지워진 희귀특산식물 목록표 복구를 완성했어요. 비밀 유지를 위해 나머지 식물은 비밀로 할게요. 국립수목원에서 탐정이 되어 희귀특산식물도 찾고 배우는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매리는 색깔을 맞힐 수 있을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과정과 색깔을 보았을 때의 느낌을 연결할 수 없는 거예요. 색깔이 주는 느낌은 위치, 길이, 면적, 부피, 질량과 같은 용어로 나타낼 수 없어요. 여러분이 소금을 먹었을 때를 생각해 봐요. 소금의 짠 맛이 어떤 느낌인지 자연과학 용어로 설명할 수 있나요? 이처럼 촉감, 맛, 고통 등의 생생한 느낌은 ... ...
- 여성 과학자가 못 갈 곳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내 한계를 시험하게 만드는 곳이기도 해요. 하고자 하는 의욕과 열정만 있다면 어느 위치에서든 꿈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 역시도 제가 남극에 가는 걸 반대하는 사람들을 확신에 찬 눈빛으로 설득했거든요. 꿈을 놓지 않으면 언젠간 이룰 수 있을 거예요. 여성 과학자, 점점 늘어나고 있어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유전 정보의 단위를 유전자라고 해요. 20세기 초만 해도, 유전자는 염색체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사실 유전자는 염색체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일 수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지요. 미국의 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은 움직이는 유전자를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 100만분의 1m) 크기의 작은 입자들이 모여 든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또 초점의 위치를 바꾸자 레이저 빔 근처에 모였던 입자들도 함께 움직인다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그 결과 레이저 빔을 쏜 뒤, 렌즈로 초점을 맞춰 입자를 가두는 데 성공했답니다. 한편 무루 교수와 스트릭랜드 교수는 ‘처프 ... ...
- [과학뉴스] 사람보다 민첩한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할 것은 ‘민첩함’이에요. 대부분의 로봇은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걸음을 멈추고 위치와 높이를 파악해 얼마만큼 움직일지를 계산한 뒤 이를 뛰어 넘어요. 하지만 아틀라스는 움직이는 중에도 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답니다. 덕분에 걷는 동작과 장애물을 피하는 동작에 끊김이 없지요. 뿐만 ... ...
- 내가 독도에 갈 확률은 얼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브랜던 카터는 1973년, 코페르니쿠스 원리에 반대하면서 ‘우리 인간은 우주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인류 원리’를 제안했어요. 하지만 반대로 1993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우주물리학자 리처드 고트 교수는 코페르니쿠스의 원리를 지지하며, 인류가 특별하지 않은 때에 존재한다는 ... ...
- [출동! 기자단] 카이스트 인터랙티브 미디어 랩 게임을 하면서 연구도 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두 그룹 모두 파란색 공을 클릭한 횟수는 비슷했지만, 일반인의 경우 게이머보다 클릭 위치가 훨씬 넓게 퍼져 있었어요. 정밀도가 떨어진 거죠. 이런 데이터를 모아 마우스 실수를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만들면 마우스 클릭 실수를 줄일 수 있어요. 또, 사람처럼 총을 쏘는 인공지능을 만들어 게임을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