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봇, 100년 동안 갖가지 얼굴을 갖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로봇들이 벌레부터 사람과 비슷한 형태까지 각양각색의 모습을 하고 있네요. ‘로봇’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든 사람도 로봇이 이렇게 다양해질 줄은 상상도 못했을 겁니다. ‘로봇’은 원래 이런 뜻으로 지은 단어가 아니었거든요! ‘로봇’의 뜻을 로봇학자에게 묻지 마라?1920년 체코슬로바키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과학기술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된 디스토피아를 그렸다. 여러 문학 단체에서 20세기 100대 영문 소설 중 하나로 꼽는 명작이다.작품 속 아이들은 모두 인공수정으로 태어난다. 한 부화기에서 최대 96개의 배아가 배양되는데, 모두 동일한 유전자를 갖고 있다. 런던에 있는 부화장에서는 모두 같은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 로봇 기술의 종합선물세트, 휴머노이드 “아시모(ASIMO)가 세상에 등장한 순간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죠.”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인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한국 인간형 로봇(휴머노이드)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휴보(HUBO)를 개발한 계기가 일본이 출시한 아시모 때문이 ... ...
- 엑소가 알고 보니 이세돌이었다고? 그래프로 보는 가요계 사재기 논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줄 때 혼자 이용량이 늘자 자연스럽게 순위가 높아졌고, 한번 순위권에 진입한 뒤에는 TOP100 차트를 듣는 고객층 때문에 순위가 쉽게 유지됐다. 이런 특수한 그래프의 양상이 한 번이 아니라 새벽 시간대마다 지속적으로 나타나자 대중들은 실시간 그래프를 캡처해 공유하며 사재기 의혹을 제기했다 ... ...
- [지사탐 열혈가족 인터뷰]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만큼 왕성한 번식력으로 악명이 높다는 것을 알게 됐어요. Q 왕우렁이가 세계 최악의 100대 외래침입종이라고요? 왕우렁이는 사과우렁이과의 연체동물로 1983년 식용으로 정부 승인을 받아 일본에서 우리나라에 수입됐어요. 그러다 식욕이 좋아 논의 잡초를 잘 없앤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1990년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자기소개를 부탁해!반가워, 하하하! 나는 대왕고래야. 흰수염고래라고도 해. 우리는 약 100년 이상 살아. 붓질한 듯한 잔무늬, 청회색의 몸. 멋지지 않니? 후후, 더 멋진 건 우리가 지구에서 가장 큰 동물이라는 거야. 몸길이는 최대 33m고 몸무게는 최대 180t이거든. 뭘 먹는데 그렇게 크냐고? 딱히 ... ...
- [지구사랑탐사대] 이 조그만 벌레가 생물계의 슈퍼스타? 선충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현재까지 2만 5000종이 넘는 선충이 발견되었지만, 과학자들은 지구상에 약 100만 종에 달하는 선충이 있으리라 추측하고 있어요. 오늘 지구사랑탐사대가 인천 앞바다의 섬인 신도로 가는 이유도 혹시 섬에 살고 있을지 모르는 신종 선충을 찾아보기 위해서지요.이 조그만 선충은 사실 생물학계의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문제여러분은 다음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할 건가요? 브레이크가 고장 난 기차가 시속 100km로 달리고 있어요. 달리던 방향에는 5명이 일하고 있고, 옆 선로에는 1명이 일하고 있지요. 선로를 바꿀 건가요? 대답하기 참 곤란하지요? 이 질문은 1967년 영국의 철학자 필리파 루스 풋 박사가 고안한 사고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어디가 아프신 거예요?”“의사 양반이 그러더군. 비타민D가 부족하다고…. 비타민D가 부족하면 뼈가 약해진다나. 이젠 손가락을 움직일 힘조차 없네. 입만 살 ... : 운동하는 물체가 지니는 에너지.* 나노 :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말. 나노 입자는 표면적이 1~100m의 10억분의 1인 입자다 ... ...
- [과학뉴스] 눈 깜빡할 새 벌레 잡는 카멜레온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만들어진 소프트 로봇이에요. 원래 길이의 5배까지 늘어날 수 있으며 자신의 무게보다 100배 되는 것까지 들어올릴 수 있지요. 이 로봇 안엔 공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공기가 들어가면 펴졌다가 공기가 빠지면 접히지요. 마티네스 교수팀이 개발한 소프트 로봇은 폴리머의 탄성력 때문에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