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웃음 가스’로 만든 테라헤르츠 레이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주파수가 0.3THz(테라헤르츠·1THz는 1조 Hz)에서 3THz에 이르는 전자기파다. X선 에너지의 100만분의 1 수준으로 세포의 구조를 볼 수 있어 미래 전파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개발된 테라헤르츠파 광원은 아주 적은 폭의 특정 테라헤르츠만 생성할 수 있어 활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 ...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맛이 강한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얼음 결정의 크기가 35~5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 아삭한 빙과류는 55~70㎛다. 얼음 결정의 크기는 아이스크림 원액을 냉동하는 속도로 조절할 수 있다. 소프트 아이스크림은 영하 30도에서 급속 냉동해 얼음 결정을 가능한 작게 만든다. 반면 빙과류는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기 전도도를 좌우한다. 현재 손 교수팀은 PCEC용 박막을 1~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기판에 덮어 성능을 시험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는 반도체 칩 하나에 더 많은 기능을 담아야 하고 이를 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야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산화물의 박막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다. 그래서 방어 기술이 필요하다. 김용대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론적으로 100% 해킹이 불가능한 통신기술은 없다”며 “LTE(4G)와 5G는 물론이고, 안전하다고 알려진 블록체인 기술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도시의 밑바닥부터 통신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된 스마트시티의 아킬레스건은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액체산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극저온에 대한 대비가 중요했다. 이러한 물질들이 길이가 100m가 넘는 배관을 통해 나로호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기화하지 않도록, 또 일정한 온도가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 했다. 세 번째는 청정도 문제였다. 발사체를 발사할 때는 사용하는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아직 유일한 해가 있는지 조차 몰라. 방정식의 성질도 미지수로 남아있고, 100만 달러 상금도 걸려 있지.현재 학자들은 이 미분방정식의 해를 근사적으로 찾는 방법을 사용해. 근삿값으로도 물을 표현할 수 있거든. 앞에서 겨울왕국 1편의 눈을 만든 수학자 테란 교수는 디즈니의 또 다른 애니메이션 ... ...
- [오일러 프로젝트] 메리 크리스MATH! 트리 속 수열 문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얼마일지, 코딩을 이용해 구해보자. ●오일러 프로젝트 67번 문제를 해결하려면? 100줄인 삼각형의 꼭대기부터 맨 아래까지 내려가는 경우의 수는 정말 많아서, 아무리 컴퓨터라고 해도 하나하나 계산하는 것은 무리예요. 이렇게 무작정 계산하는 것을 코딩에서는 ‘Brute-force 방법’이라고 ...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방학이 끝난 뒤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중국 학생이나 한국 학생이나 계획을 100% 실행하는 데 성공한 경우는 별로 없다. 방학을 알차게 보내기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 ...
- [가상충돌 D-8년] 너란 소행성 처음이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019 PDC처럼 지금껏 발견하지 못한 근지구소행성은 매우 많아요. 2019 PDC가 속하는 지름 100~300m급은 약 87%가 발견되지 않았지요. 지구 궤도와 가까워 지구와 충돌할 우려가 있는 근지구소행성 상당수를 왜 아직 발견하지 못했을까요? 소행성은 보통 지상의 광학망원경으로 관측해요. 별과 달리 스스로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단위가 아니라 일반적인 폭약인 TNT로 환산한 폭발력이다. 즉 1Mt의 핵폭탄은 TNT 폭약 100만t을 폭발시켰을 때와 같은 폭발력을 가진다. 역사상 가장 강한 핵폭탄은 옛 소련이 1961년 개발한 ‘차르 봄바(Tsar Bomba)’라는 핵폭탄인데, TNT로 환산했을 때 무려 50Mt의 폭발력을 가졌다.단순히 생각하면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