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에어로젤 있으면 화성에서 살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5호
- 효과가 우수한 것이 특징이지요.연구팀은 화성의 표면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에너지, 100~200W/m²정도의 램프 빛을 2~3cm 두께의 실리카 에어로젤에 비추는 실험을 한 뒤 컴퓨터 모의 실험분석을 했어요. 그 결과, 실리카 에어로젤은 얇은 층만으로도 태양에서 오는 강한 자외선을 차단하고, 광합성에 ... ...
- 음식물 쓰레기 왜 쌓이나?!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감염되면 열이 나고 무기력해지며 결국 죽게 되지요. 일단 감염됐다 하면 죽는 치사율* 100%의 무서운 병이랍니다. 그런데 2007년, 아프리카에서 유럽으로 번지기 시작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지난해 8월 중국을 거쳐 몽골, 베트남, 캄보디아로, 이어서 지난 5월 30일 북한까지 확산됐답니다. 잔반이 이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기호를 이해하는 게 어떤 의미를 갖니?인간의 뇌엔 860억 개의 뉴런이 있지만, 꿀벌은 100만 개도 채 안 돼. 연구팀은 이렇게 인간보다 훨씬 작은 뇌를 가진 곤충이 수와 기호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 지금까진 영장류나 새들만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거든. 연구를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탄소, 먼지에서 방출된 전파 신호를 분석한 결과였지요. 또 이 지역에서는 우리 은하보다 100배 더 많은 별을 만들어내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두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가스 압축이 일어나며 자연적으로 많은 별이 만들어지기 때문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답니다.한편 연구팀은 은하 B14-65666의 ... ...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많았다. 이론으로만 존재하던 ‘신의 입자’ 힉스가 48년 만에 처음으로 발견됐고(2012년), 100년 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예측한 중력파의 존재도 이를 찾아내려는 25년간의 노력 끝에 확인됐다(2016년). 생명공학 분야에서는 원하는 부위의 DNA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가위인 크리스퍼(CRISPR)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알코올 중독 증상을 보였다. 연구팀은 “청소년 음주가 장기적으로 정신질환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doi: 10.1523/ENEURO.0401-19.201 ... ...
- 히어로의 ‘아이스 웨폰’ 얼음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단위가 아니라 일반적인 폭약인 TNT로 환산한 폭발력이다. 즉 1Mt의 핵폭탄은 TNT 폭약 100만t을 폭발시켰을 때와 같은 폭발력을 가진다. 역사상 가장 강한 핵폭탄은 옛 소련이 1961년 개발한 ‘차르 봄바(Tsar Bomba)’라는 핵폭탄인데, TNT로 환산했을 때 무려 50Mt의 폭발력을 가졌다.단순히 생각하면 ... ...
- [프리미엄 리포트] ‘소부장’ 구하러 UST 드림팀이 뜬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전기 전도도를 좌우한다. 현재 손 교수팀은 PCEC용 박막을 1~2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분의 1m) 두께로 기판에 덮어 성능을 시험하고 있다. 그는 “앞으로는 반도체 칩 하나에 더 많은 기능을 담아야 하고 이를 위해 성능을 업그레이드해야할 것”이라며 “이를 위한 차세대 반도체 산화물의 박막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55세 남성 등 환자 2명을 대상으로 대뇌 1차 운동피질 영역 일부에 마이크로미터(μm·1μm는 100만분의 1m) 크기의 전극 96개로 구성된 전극다발을 심어 7~10개월간 뇌 신호를 분석했습니다. 환자별로 기능성 자기공명영상(fMRI)도 촬영해 혈중 산소 농도와 뇌 신호 자료를 비교해 분석했습니다.이 결과를 ... ...
- [매스미디어] 겨울왕국II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아직 유일한 해가 있는지 조차 몰라. 방정식의 성질도 미지수로 남아있고, 100만 달러 상금도 걸려 있지.현재 학자들은 이 미분방정식의 해를 근사적으로 찾는 방법을 사용해. 근삿값으로도 물을 표현할 수 있거든. 앞에서 겨울왕국 1편의 눈을 만든 수학자 테란 교수는 디즈니의 또 다른 애니메이션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