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에너지를 얻어내는 효과도 낼 수 있을 것이다. 메타물질은 지난 수십 년 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연구가 이뤄져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용화가 늦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신 반대급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한계점이 ... ...
- [탄생 150주년]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지금까지 이런 주기율표는 없었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멋진 아이디어를 담은 나만의 주기율표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곽소희 양은 “주기율표를 직접 만드니 자연스럽게 원소와 그 성질을 익힐 수 있었다”며 “특히 기존에 알고 있던 원소뿐만 아니라 평소에 잘 외워지지 않았던 다른 원소들도 쉽게 머릿속에 들어왔다”고 말했다 ... ...
- 소행성 탐사 전성시대, 류구부터 파에톤까지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태양계 소천체 연구와 함께 소행성 탐사에 관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유엔의 평화적우주이용위원회(COPUOS) 근지구천체분야 한국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fullmoon@kasi.re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별과 은하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형성됐는지, 그들이 어떤 진화 과정을 거쳤는지, 태양계의 생성 과정은 어땠는지에 대해서는 모릅니다. 필자가 속한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캐스케이드(CASCADE) 연구실은 지금보다 훨씬 젊었던 초기 우주의 가스 구름에서 성단이라고 하는 별의 집단이 형성되는 ... ...
-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폴리매스 프로젝트수학동아 l2019년 04호
- 현대 사회를 흔히 ‘빅데이터’의 시대라고 하죠? 과거에 비해 다뤄야 할 데이터의 양이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져 그렇습니다. 덩달아 통계학, 기계학습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이터 과학 분야가 주목받고 있지요. 따라서 빅데이터를 분석하거나 빅데이터를 다루는 인공지능을 ... ...
- [SW 진로체험] 답을 찾는 시간이 즐거운 SW 개발자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분포도에 대한 아이디어는 어떻게 냈나요?APM은 초단위로 쏟아지는 엄청난 양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면서 그 속에서 문제를 정확히 파악해서 조율해야 해는 기술이에요. 큰 규모의 데이터를 처리할 때 주로 ‘평균’이란 개념을 사용하는데 평균으로는 어디에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정확히 알기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대량생산이 시작됐어요. 이후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플라스틱은 얼마나 생산되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을까요?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통계’라는 제목으로 한 해 동안 ... ...
- [10대의 약]청소년 속 쓰림의 적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길항제는 모두 위의 산성도(pH)를 낮추기 때문에 산성 상태에서 흡수되는 약이나 영양소의 흡수를 방해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복용하고 있는 다른 약이 있다면 반드시 약사에게 복용 간격을 물어봐야 합니다. 쓴맛 수용체에 카페인 결합해 위산 분비사실 속 쓰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조물도 3D 프린팅으로다운사이징 기술이 각광받는 이유는 향후 의료나 우주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nm 수준에서는 간격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색을 변하게 만들 수 있는 ‘나노구조색’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6년 ‘나노레이저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스펙도 산정했으니, 다음 호에서는 다리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