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양"(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노'가 보내온 목성 클로즈업과학동아 l2019년 03호
- 1995년 주노의 선배인 탐사선 ‘갈릴레오’가 목성의 대기를 조사해 암모니아의 양을 측정한 적이 있지만, 내부의 가스층은 살피기 어려웠다. 목성이 내뿜는 강력한 방사성 물질 때문이다. 목성은 하나의 커다란 전자석처럼 주변에 강력한 자기장을 만든다. 지구 자기장보다 2만 배나 강하며, ... ...
- [동아리탐방] 수학 보드게임 들고 전국으로! 거제연합수학동아리수학동아 l2019년 03호
- 아이들에게 게임 방식으로 수학을 가르치면서 큰 효과를 봤다”며, 뿌듯해했다. 김민지 양은 “나중에 교사가 된다면 동아리 경험을 살려 학생들에게 교과 내용을 활동 중심으로 가르쳐 보고 싶다”는 바람도 생겼다. 각자 다른 학교를 다니고 있지만 1년 동안 거제연합수학동아리라는 이름으로 ... ...
- Part 2. 플라스틱 쓰레기의 피해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먹이로 착각하고 먹은 동물들은 배부름을 느끼고 음식을 제대로 섭취하지 않아 영양실조로 죽지요. 헤엄을 치다가 그물이나 플라스틱 고리에 몸이 끼어서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 죽기도 하고요. 하지만 플라스틱에 의해 고통 받는 동물들이 어디에 얼마나 분포하고 있는지 등의 피해 상황은 아직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연료 1g으로 석유 8t(톤)을 태워 만들어내는 전기에너지와 같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 수 있을까. 스스로 빛과 열에너지를 만드는 태양이라면 가능하다. 강한 중력이 작용하고 ... “이제 핵융합 연구는 ‘꿈의 인공태양’이 아니라 현실과 가까워지는 인공태양으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구조물도 3D 프린팅으로다운사이징 기술이 각광받는 이유는 향후 의료나 우주탐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령 nm 수준에서는 간격을 조정하는 것만으로 색을 변하게 만들 수 있는 ‘나노구조색’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박홍규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2016년 ‘나노레이저 ... ...
- [2019 태국탐사대 특명] 숨겨진 보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3호
- 건축 양식부터 내부 구조까지 완성도와 수준이 높아서 대단하다”고 말했다. 다양한 모습의 태국 불상한국에서는 거의 앉아있는 불상만 볼 수 있는 데 반해, 태국에서는 요일마다 다른 의미를 지닌 8개 형태의 불상이 있다. 수요일은 낮과 밤으로 나뉘어 있어 7개가 아닌 8개다. 그래서 사원의 ... ...
- 스티븐 호킹 서거 1주년, 먼지가 된 호킹과의 대화과학동아 l2019년 03호
- 30년 안에 달에 기지를 세우고, 50년 안에 화성에 도착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200년 안에 태양계가 아닌 외계행성의 위성들을 탐사할 수 있을 겁니다. 그 위성에 도착하는 것은 사람이 탑승한 우주선이어야 합니다. 인류의 미래를 고려한다면 우리가 직접 그곳으로 가야하죠. 인류가 이주할 수 있는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차 세계대전을 거치며 본격적으로 플라스틱의 대량생산이 시작됐어요. 이후 어마어마한 양의 플라스틱이 만들어지고 있지요. 플라스틱은 얼마나 생산되었을까요? 그리고 얼마나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왔을까요? 매년 12월, 영국의 왕립통계학회에서는 ‘올해의 통계’라는 제목으로 한 해 동안 ... ...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스펙도 산정했으니, 다음 호에서는 다리를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o be Continued. 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통합과학 교과서] 나쁜 왕비가 다시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바이러스가 세균과 달리 추운 온도에서도 잘 살아남으며, 공기 속에 포함된 아주 적은 양으로도 쉽게 감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랍니다. 특히, 라이노바이러스는 겨울을 오히려 좋아하기도 해요. 겨울철 콧속 온도인 33~35℃는 라이노바이러스가 번식하기 좋은 온도거든요. 이 때문에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