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재료"(으)로 총 3,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611년 사대부 출신 첫 음식 칼럼니스트로서 ‘도문대작(屠門大嚼)’이라는 음식과 식재료 품평서를 펴냈다. 허균은 스스로를 ‘평생 먹을 것만 탐한 사람’이라고 할 정도로 깐깐한 식객이었다. 그런 그가 44세가 되던 해에 전라도 함열(지금의 전북 익산)로 난생 처음 귀양을 가게 된다. 전국 각지를 ... ...
- 지친 곤충들만 오세요~! 곤충호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들으며 숲길을 걷는 동안 한 봉지 가득 나뭇가지가 모아졌어요. 기자단 친구들은 준비된 재료들을 곤충호텔의 아래층부터 차곡차곡 채워나갔어요. 20여분 공들인 끝에 드디어 곤충호텔 완성! 머지 않아 이 호텔에 다양한 곤충들이 찾아와 편히 쉬고 있겠죠?미니인터뷰곤충과 사람 모두가 살기 좋은 ... ...
- PART 2 학문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공장은 직접 시운전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면 생산 라인의 설계나 동선 모양, 재료량, 제품의 생산량 등 여러 가지 조건을 다르게 한 뒤 최적의 생산 계획을 세울 수 있다.최근 장 교수팀은 CJ 대한통운의 의뢰를 받아 물류센터의 동선과 효율적인 운영 계획을 연구 중이다. 이 프로젝트도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넣었을 때 사그라지는 감촉도 일품이다.이렇게 거품요리를 만들 때 가장 많이 쓰이는 재료는 달걀흰자다. 노른자를 없앤 달걀흰자는 오랫동안 한 방향으로 빠르게 저으면 거품이 풍부하게 일어난다. 흰자를 많이 치대면 치댈수록 공기방울의 크기는 점점 작아지고 거품 전체 크기는 커진다. 또 ...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실린 연구결과를 보면 15분 정도 길이의 쿡방을 4편 정도 보면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식재료에 대한 지식과, 요리를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음식과 요리에 대한 지식이 곧바로 건강한 음식 섭취로 이어진다는 보장은 없지만 말이다.쿡방 레시피, 컬로리는 생각 안 해방송에 ...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빗물, 개수구의 물 등 생활 주변에서 흔히 보는 ‘낙하하는 작은 물방울’이면 뭐든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장점이에요.권순형 책임연구원은 “지난해 개발했을 때는 물 한 방울이 흐를 때 LED 한 개를 밝힐 수 있는 양의 전기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개량을 거듭해 물방울 하나로 LED 열 개까지 ... ...
- 수백 년 도자기 묵은때 화학으로 벗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절대 추정을 통해 복원하지 않습니다. 왜곡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복원에 사용하는 재료와 접착제 역시 언제든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씁니다. 그래야 나중에 다시 보존처리할 때 출토 원형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함 연구사는 “문화재 보존처리에 영원한 것은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최선을 다해 ... ...
- 올록볼록~! 종이로 만든 동화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전시할 수 있답니다.이야기를 담고 살아 움직이는 종이종이 작품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는 아주 간단해요. 다양한 색의 종이, 조각도구, 날카로운 칼, 풀만 있으면 돼요. 하지만 만드는 과정은 생각보다 복잡하지요.우선 종이에 그림을 그려요. 부조를 만들 때는 입체감을 줘야 하기 때문에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종이나 캘리그래피용 펜 대신 문방구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화선지와 붓펜을 쓴다. 흔한 재료의 가치를 높이고 싶다는 생각 때문이다.캘리그래피를 통해 이루고 싶은 꿈이 있냐는 물음에 김 선생님은 작품을 모아 전시회를 열거나 책으로 만들고 싶다고 했다. 작품을 더 많은 사람들과 나누고 ...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이라고 할 정도로 뛰어난 광원이니까요. 그런데 LED와 OLED는 재료부터 완전히 다릅니다. LED는 질화갈륨 같은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만드는 반면, OLED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을 이용합니다. 둘 다 ‘자체발광’ 소자이긴 해요. OLED TV는 패널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에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