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정"(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알고리즘이 만든 가상 생태계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찾아 이동할 때는 무리지어 다니도록 설정했다. ‘디스턴스 필드’로 동식물 서식지 결정섬 여기저기를 돌아다니며 고기를 얻고 열매를 따모으다보니 어느새 가방이 다 찼다. 아이템을 나눠 담을 바구니를 짜려고 하니 갈대 세 줄기가 필요하단다. ‘갈대=물가’라는 노하우를 떠올리며 지도를 ...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염기가 모여 하나의 아미노산을 지정하게 됐을까? 하나의 염기가 하나의 아미노산을 결정하면 안 될까?DNA가 갖는 염기는 A, G, T, C로 총 4가지이다. 그리고 DNA가 가진 정보를 통해서 번역 돼야 하는 아미노산은 20가지다. 이때, 염기 1개가 아미노산 1개를 지정한다면 어떻게 될까? 4가지 아미노산에 대한 ... ...
- [영재교육원 탐방 6] 기초 교육을 탄탄하게, 연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면접을 본다. 수학반 40명, 과학반 80명을 최종 선발하며, 1년 뒤 평가를 통해 진급을 결정한다. 열린문제로 문제 해결력 쑥쑥연세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반에는 수학심화반과 수학사사반이 있다. 1, 2년차 때는 수학심화반에서 정수론, 조합론, 암호학, 선형대수학, 미분과 적분, 벡터 같은 기초 수학 ... ...
- 과학동아 대중 과학강연 ‘2018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fMRI)를 이용해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뇌를 모델링한다. 그는 인간이 의사결정을 하는 동안 뇌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 이론을 찾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뇌-기계 인터페이스(BMI·사람이 선택하면 로봇이 대신 행동하는 기술)나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 등을 개발할 수 있을 ... ...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동선을 따라 어떤 컨테이너나 건물을 놓을지, 벽에는 어떤 물체를 걸어 놓을지 등을 결정하고 직접 그린다. 한마디로 3차원으로 게임 맵을 설계하고 인테리어를 하는 셈이다.전공은 뭔가산업디자인과 애니메이션을 전공했다. 산업디자인을 전공하면서는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을 배웠고, 미술적인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자신의 강점을 살리는 것이 합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책에서 진로 결정 용기 얻어 17학번_김예린일반고인 대전 괴정고를 졸업하고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으로 합격한 김예린 씨는 “이공계로 진로를 정한 계기는 독서활동 덕분”이라고 말했다. 막연하게 바다와 배를 동경했지만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어렵다”고 덧붙였어요. 자이디의 말처럼, 이 결과 하나로 ‘콧구멍 모양은 기후에 따라 결정된다’고 단정 지으면 안 돼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는게 곧 참이라는 뜻은 아니거든요. 지금 기술로는 ‘그럴 가능성이 크다’까지 밝힐 수 있어요. 앞으로 유전통계학이 더 발전한다면 유전자를 진짜 ... ...
- [Issue]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의 진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명백히 범죄와 관련돼 보였다. 다행히 현장 조사와 변사자 검시 과정에서 몇 가지 결정적인 증거가 발견됐고, 수집된 증거와 정황 증거를 통해 용의자가 좁혀졌다. 사건은 쉽게 전개되는 듯했다. 하지만 문제는 피해자의 사망시각이었다. 피해자의 사망시각은 곧 범행 시각, 용의자의 알리바이를 ... ...
- Part 4. 게임의 미래 책임질 인공지능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유한 상태 기계(FSM·Finite State Machine)’나 의사결정을 할 때 규칙이 정해져 있는 ‘결정 트리(Decision Tree)’, 문제를 해결할 때 전제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 는 ‘규칙 기반 시스템(Rule Based System)’ 같은 기술을 이용한다. 그래서 게임 속 캐릭터는 몇 가지 명령으로 ...
- [과학동아 X KRISS] 아보가드로 상수로 더 명확해진 몰(Mol)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등의 인증값을 몰 단위로 함께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러기 위해 몰질량을 결정하기 위한 정밀한 동위원소비 측정 연구를 진행 중이다.몰 단위의 측정소급성이 확보되면 실생활이 어떻게 바뀔까. 이 책임연구원은 “화학, 생물 분야에서 불명확성을 제거해줄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세포나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