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아름답게 태어났다. 그 사실만 잊지 않는다면, 우리는 아름다운 존재로서 세계에 찬란한 빛으로 머물다 사라질 것이다.” 암호화폐, 그 이후 순식간에 1만 원이 2만 원이 됐다. 잠시 한눈을 팔았더니, 2만 원이 200원이 됐다. 대박과 쪽박의 차이는 한끝. 이 한끝을 놓치지 않기 위해 불침번을 ... ...
- Part 3. 우주 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관측하지 못했어요. 이런 별들은 행성이 가려도 크게 어두워지지 않아 케플러가 빛의 밝기 변화를 알아채지 못했거든요. 앞으로 TESS는 케플러가 확인하지 못했던 중심별들을 집중적으로 관측할 계획이랍니다. TESS의 목표는 골디락스 존에 위치하며, 단단한 지각을 가진 외계행성을 최대한 많이 ... ...
- Part 3. [스마트 바퀴2] 스스로 치료하고, 전기 만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올해 제네바 모터쇼에서 화제가 된 바퀴는 ‘산소 타이어’예요. 바퀴 안쪽에 초록빛 이끼가 눈에 띄는 이 바퀴는 대기의 이산화탄소와 도로 표면에 있는 수분을 흡수해 광합성을 하지요. 그 결과 만들어진 산소를 내뿜는답니다. 산소 타이어를 개발한 굳이어사는 “아직 상용화가 되지 않은 ... ...
- [과학뉴스] 스스로 광합성하는 인공세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삽입해 인공세포를 완성했다. 개발된 인공세포는 골격 단백질을 스스로 합성하고, 빛에 반응해 움직였으며, 한 달 가량 대사 활동을 유지했다. 인공세포는 향후 세포 내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대사활동 중에서 비정상적인 대사의 원인을 밝히는 것은 물론, 기능이 저하된 세포를 대체할 수 있을 ... ...
- [Issue] 예년 보다 더운 여름, 모기 잘 물리는 동네는?과학동아 l2018년 07호
- GIS)을 이용해 ‘모기 예보제’를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60곳에 유문등(빛으로 모기를 유인하는 등)을 설치하고, 자치구별로 2대씩 총 50대의 디지털 모기측정기(DMS)를 설치했다. 디지털 모기측정기는 모기를 포집해 개체수를 방역본부에 전송한다. 채집된 모기 현황은 서울시 홈페이지 ... ...
- [시사기획] 6·25 전사자 유해 발굴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유품분석관이 발굴현장에서 발견된 빛이 바랜 메모지를 비교분광장치에 넣고 빛을 조사하자, 보이지 않던 ‘고향에서 찾아오라, 함경남도 함흥시 서상리 97번지’라고 적힌 글씨가 드러났다.이 유품분석관은 “가시광선을 제외하고 자외선, 적외선, 방사선 등을 쪼이는 방식”이라며 “세월이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대신해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LED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또 한번 획기적인 ‘빛의 시대’를 열지 기대해볼 만합니다. 김종명서울대 화합물반도체 에피성장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사파이어 나노멤브레인을 설계해, 고효율 편광 LED와 마이크로 LED를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 ...
- [재학생 인터뷰] 조선해양공학 승선하고 미래 엔지니어로 출항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빛이 휘어져서 진행하는 현상인 회절을 연구했다. 프레넬 회절은 광원이나 관측점이 빛을 휘어지게 만드는 물체와 유한한 거리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프라운호퍼 회절은 광원 혹은 관측점이 회절시키는 물체보다 무한히 먼 곳에 떨어져 있는 경우다.류 씨와 친구들은 프레넬 회절의 경우 계산이 ... ...
- [과학뉴스] ‘세레스’의 유기물, 의외로 풍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및 적외선(VIR) 분광계로 유기분자의 신호를 포착했다. 연구팀은 당시 분광계에 흡수된 빛 스펙트럼 중 6~10%만이 유기분자에서 방출됐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런데 최근 지상 실험과 비교해 데이터를 재검토하는 과정에서 이 수치가 40~50%로 수정됐다. 유기물이 예측했던 양보다 훨씬 더 많이 ... ...
- [Origin] 양자역학과 인간의 자유의지가 무슨 상관?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데에는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 거리에 가자마자 재빨리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 빛의 속도와 경쟁해야한다는 말이다.양자역학은 확률을 예측한다. 따라서 결과는 언제나 수많은 데이터를 평균해서 얻어진다. 원자나 광자 한 개를 다루는 실험을 여러 번 하다보면 전자나 광자를 놓치기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