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대표적이다. 유기 반도체는 현재 상용화된 실리콘 기반 무기 반도체보다 흡광계수(
빛
을 흡수하는 정도)가 10배가량 높다. 이는 부피가 동일할 때 태양광 흡수량이 10배 많다는 뜻이다. 가령 실리콘 태양광 전지의 두께가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라면, 유기 반도체는 10분의 1 수준인 300nm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파장을 갖는
빛
의 에너지는 10μW(마이크로와트·1μW는 100만 분의 1W) 정도다. 연구팀은
빛
이 정면으로 들어올 때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레이저의 에너지가 10μW 이상이 되도록 레이저의 출력을 조절했다. 최 센터장은 “물체의 색상이나 코팅된 물질에 따라 반사되는 정도가 다르다”며 “어떤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단적으로 보여준다. 동시에 온 세상이 사물인터넷(IoT)으로 연결될 미래가 결코 장밋
빛
일 수만은 없다고 경고한다. 때문에 3~4년 전부터 제어기술 연구자들 사이에서는 제어시스템을 해킹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는 보안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했다. 심형보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기법을 사용했다. 또한 소금새우가 붉은
빛
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는 점에 주목해 붉은
빛
만 반사하는 길이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작은 유리 조각을 넣어 소금새우의 움직임을 통제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새우 떼가 상승할 때마다 대규모의 하향 해류가 생성되는 모습을 ... ...
[Origin] 외계행성 찾으러 가즈아~ 케플러 대신할 테스 발사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받아 아주 미세하게 위치가 변한다. 또 행성이 중심 별 앞으로 지나갈 때 행성에 가려져
빛
의 밝기가 살짝 어두워진다. 테스는 중심 별의 밝기와 위치를 관측하면서 그 값이 미세하게 달라지는 순간을 포착해 외계행성을 찾는다. 케플러가 찾아낸 2652개의 외계행성도 통과 측광법으로 발견했다.다만 ... ...
[Tech]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PbS) 양자점으로 만든다”며 “황화카드뮴 등 다른 재료에 비해 에너지 밴드갭이 햇
빛
을 흡수하는 데 가장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양자점 태양전지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이지만 학계에서는 몇 년 안에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를 뛰어넘을 것으로 전망 한다. 김 선임연구원은 “실리콘으로 ... ...
Part 5. 해와 달의 비밀을 밝힌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4호
1.4m 두께의 탄소복합체로 방패를 만들어 탐사선 앞쪽에 붙였어요. 이 방패가 태양
빛
을 반사하면서 최대 1370℃까지 견딜 수 있게 해 주지요. 또 열 방출기를 이용해 방패에 스며든 열을 다시 우주로 내보낼 수도 있답니다. 과학자들은 파커를 통해 고도가 높아질수록 차가워지는 지구 대기와 달리, ... ...
[과학뉴스] 흰 딱정벌레 모방한 친환경 흰색 코팅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키틴 분자가 있다. 연구진은 이와 비슷한 구조로 셀룰로오스 나노섬유를 쌓아
빛
이 여러 방향으로 반사되게 만들어 하얀색을 띠게 하는 데 성공했다. 올림피아 오넬리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선임연구원은 “파란색을 띠는 몰포나비의 날개는 분자 구조가 일정한 패턴을 지닌 게 핵심”이라며 “반면 ... ...
[Tech] 기계식 키보드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만들 수 있고, 마우스나 메인보드와 연결해 함께
빛
을 내게 하는 것도 가능했습니다.
빛
이 음악의 비트에 맞춰 반응하도록 할 수도 있다니, ‘보기 좋은 떡이 먹기도 좋다’는 말이 게임 장비에도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연구하던 화학자였습니다. 광화학은 금속과 유기 물질로 이뤄진 분자 구조를 이용해,
빛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로 바꾸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인데요. 다양한 분자 구조를 연구하던 중 고리형 분자와 반원 모양의 분자가 구리 금속 이온을 중심으로 하나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사실을 확인 했습니다.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