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정도로 소개됐는데, 여파는 어마어마했다. 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블랙홀로부터 나오는 빛이라니! 이 얼마나 새로운 이론인가. 블랙홀을 일반상대론에서 가장 먼저 이야기한 사람은 1939년 로버트 오펜하이머와 하트랜드 스나이더였고, 그 뒤를 이어 로저 펜로즈, 베르너 이스라엘, 야코브 베켄스타인 ... ...
- [수학공작실] 보로노이 빛상자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함께 만들어 볼까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란? 보로노이 빛상자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라는 기하학적 모양을 활용해 만들어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간단한 수학 원리에 따라 평면을 나눈 그림으로, 가지각색 다양한 모양의 다각형으로 이뤄져 있어요. 우크라이나에서 ... ...
- Part 3. 블랙홀의 모습을 관측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향해 오고 오른쪽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인다면, 우리가 보기에 왼쪽의 빛이 오른쪽보다 더 밝게 보이는 거죠. 정태현 박사님은 “블랙홀 관측 연구는 기존의 천체물리학 이론을 증명하고 발전시키는 데 매우 의미가 있다”면서 “올 해 관측에는 북극의 망원경이 또 추가되는 ...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주제가 ‘과학동아 송(song)’ 작사 공모전에서 대상 수상자가 결정됐다. 제목은 ‘빛으로’이며, 주인공은 임채연 양(분당영덕여고 2학년)이다. 과학동아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AI) K팝 음반 레이블을 제작한 엔터아츠의 도움을 받아 작곡 AI인 ‘쥬크덱’을 이용해 ‘과학동아 송’의 멜로디를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50μm 간격으로 미세하게 움직이면서 세 번 촬영한 뒤 측정된 빛의 세기 차이를 이용해서 빛의 위상을 계산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실제로 두 지문을 강하고 약하게 겹쳐 찍은 뒤 홀로그램 정보를 얻어서 각 지문의 입체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까지는 성공했다. 이병효 박사과정 연구원은 “깊이의 ... ...
- 스마트폰으로 사진작가 되기!수학동아 l2018년 04호
- ISO와 관련이 있어요. F값이 작을수록, 셔터스피드가 느릴수록, ISO가 높을수록 빛을 많이 받아들여 밝은 사진을 찍을 수 있지요. 셋의 관계는 3차원 좌표로 나타낼 수 있어요. 오른쪽에 있는 ‘3차원 노출 큐브’를 보며 노출을 이해해 봅시다. 스마트폰에서는 간단하게 터치로 노출을 조절할 수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수열의 주기와 빛을 머금은 거울수학동아 l2018년 04호
- ...
- [영재교육원 탐방] 우리 영재는 우리 동네에서!수학동아 l2018년 04호
- 교수진이 직접 가르친다. ➊채현도 군, 윤건군, 김민재 군이 물리심화반에서 빛의 원리를 이용해 교통카드의 두께를 측정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➋2017년 7월과 8월에 열린 여름특별프로그램에서 학생들이 퍼즐 게임을 즐기고 있다.➌2017년 8월, 학생들은 서울시립과학관을 방문해 교육프로그램에 ... ...
- [현장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정기강좌 4강, 오로라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열었어요. 오로라는 태양에서 날아오는 입자들, 즉 태양풍이 지구 대기와 부딪혀 빛을 내는 현상이에요. 주로 위도 60~80°의 극지방에서 관찰되지요. 우리에게 마냥 아름답기만 한 오로라는 사실 과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관측 대상이에요. 바로 태양풍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태양의 ... ...
- 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알려졌어요. 블루 아이스 지역은 오랜 시간에 걸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깎여나가 푸른빛을 띠는 얼음만 남은 곳이에요. 지금까지 이곳에서 발견한 운석은 4만 개 정도로, 세계 전체에서 발견한 운석 수의 80%를 차지해요. 우리나라 연구팀도 지난 10년간 약 940개의 운석을 찾아 세계 5위의 남극 운석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