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김선아 국립광주과학관장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대표 과학관으로서 지역 산업과 연계해 상승 효과를 일으키겠다는 포부도 밝혔다. 광(빛) 산업, 자동차 산업 등 지역을 대표하는 산업에 관심을 갖고, 주변의 연구 기관과 긴밀하게 연계해 첨단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다.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국립광주과학관을 찾아가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교수팀이 3D 스캐너 기술로 만들어줬기 때문이다. 3D 스캐너는 물체에 쏜 레이저 빛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으로 물체의 표면을 이루는 수많은 점의 위치를 인식한 뒤, xyz 좌표에 물체의 모형을 가상으로 그린다. 체형을 완벽히 본뜨는 게 끝이 아니다. 휠체어를 오래 타면 꼬리뼈처럼 툭 튀어나온 ... ...
- [Future] ‘사이보그 동물’이 온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박 교수팀은 근적외선에 민감한 산화철 화합물 입자(리포솜-PTX-Fe3O4)를 대식세포에 넣어 빛으로 조종 이 가 능한 마 이크로 로봇도 발표했다. doi:10.1109/MARSS.2017.8001911 원하는 대로 마이크로 로봇을 조종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죽일 뿐만 아니라, 자기 면역세포를 붙여 부작용의 가능성도 낮춘 게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액체처럼 흐르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전압으로 액정 분자의 배열을 바꿔 빛의 투과도를 조절할 수 있다. LCD는 컴퓨터, TV 등 디스플레이에 많이 사용한다. 반도체의 경우 전기전도성이 도체와 절연체(부도체)의 중간 정도인 물질이다. 에너지를 가하거나 불순물을 첨가하면 전기전도성이 ... ...
- [DJ CHO의 롤링수톤]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 음색의 마술사수학동아 l2018년 03호
- 9세기 프랑스에서는 새로운 미술 사조가 등장합니다. 색채와 빛처럼 끊임없이 변하는 요소의 순간적인 인상, 분위기 또는 감상을 표현하는 인상주의 회화지요. 이것은 곧 음악가에게도 영향을 미칩니다. 프랑스 작곡가 모리스 라벨은 인상주의 표현법을 음악에 이용합니다. 그래서 라벨의 곡을 듣고 ... ...
- Part 1. [5%] 우리가 아는 것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전체에 있는 물질 중 우리가 알고 있는 건 겨우 5%다. 빛은 우리가 매일 보기 때문에 아주 많을 것 같지만, 우주 전체로 봤을 때 1%에도 한참 못 미치는 미미한 양밖에 없다. 중성미자★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알고 있는 5%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지구나 태양 같은 천체를 이루는 바리온 물질★이다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정밀하게 배열해 메타렌즈를 지난 빛이 휘어지면서 ‘POSTECH’을 공중에 그리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기존의 가시광선 홀로그램에 비해 2배 더 선명했다. 노교수는 “다른 단어를 표현하려면 메타물질의 배열을 바꿔야 하는데, 현재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편광시키는 편광자 두 종류를 이용한다. 0도(또는 135도)와 90도(또는 45도)로 편광된 빛을 각각 0과 1에 대응시킨다. 양자암호통신으로 정보를 주고받는 송신자와 수신자를 각각 A와 B라고 하자. B는 A가 암호화한 정보를 풀 수 있는 비밀키를 가지고 있어야 정보를 열어볼 수 있다. 가령 ‘1010’이라는 ... ...
- Part 3. 기후변화의 바로미터 극지는 미래다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얼음이 녹으면서 물웅덩이(melt ponds)가 형성돼 빙붕의 붕괴가 촉진된다고 여겼다. 푸른빛을 띠는 물웅덩이가 태양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해 웅덩이가 점점 더 커지고, 이것이 빙붕에 구멍을 뚫어 붕괴를 심화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극지연구소와 미국 컬럼비아대,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 ... ...
- [과학뉴스] 블랙홀처럼 빛을 흡수하는 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최고 99.95%의 빛을 흡수했어요. 빽빽하게 얽혀 있는 최고극락조의 깃털이 들어오는 빛을 밖으로 나가지 못하게 가두는 역할을 한 거예요. 연구를 이끈 다코타 맥코이 연구원은 “최고극락조는 암컷의 시선을 사로잡기 위해 몸 일부에 화려한 색을 지녔는데, 이 색이 두드러져 보이도록 주변의 색이 ... ...
이전1181191201211221231241251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