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뉴스
"
결정
"(으)로 총 7,270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전 변환 효율 ‘마의 30%’ 돌파, 탠덤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7.10
고안했다. 이렇게 만든 소재를 처리하는 공정에서 첨가제를 더해 페로브스카이트의 코팅
결정
을 조절하고 광전 변환 효율에 영향을 주는 전자수송층에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처리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활용해 만든 활성면적 1.17제곱미터의 탠덤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 ...
높은 해상도로 실시간 ‘인간 배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형광 염료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살아있는 인간 배아를 관찰할 수 있게 됐다. Cell저널 제공 형광 염료와 레이저 현미경을 이용해 높은 해상도로 인간 배아를 실시간 ...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배아를 추적 관찰하고, 어떤 배아가 좋은 잠재력을 가졌는지
결정
할 수 있게 될 것이란 설명이다 ... ...
김성용 KAIST 교수, 美 해양과학회 한국 대표로 초청받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프로그램 위원으로서 해양 물리 전 분야와 수산 분야의 세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결정
하는 권한을 가진다. 김 교수 임기는 지난 2월부터 2년간이다. 한편 김 교수는 2021년부터 해양디지털트윈(DITTO)의 해양관측 분야에 공동연구자로 참여하고 있다. DITTO는 국제연합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 ...
편도체 무디면, 공포영화 마니아 될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3.07.07
뇌는 비상경보 시스템을 작동시켜 호랑이와 싸울 것인지 아니면 도망갈 것인지 순간
결정
해야 하는 투쟁-도피 반응(fight or flight response)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 뇌는 바빠진다. 뇌의 깊은 곳에 아몬드처럼 생긴 편도체(amygdala)는 지금의 공포 상황이 위험한 것인지 판단하고 대뇌 피질과 ... ...
바다에 뜬 최첨단 연구소 '탐해3호'...희토류 등 자원 탐사 나선다
2023.07.07
탄성파를 수신하는 방식이다. 이 스트리머의 길이와 개수 등이 배의 3D 탐사 능력을
결정
한다. 탐해 3호는 기존 탐해 2호보다 4배 넓은 면적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탐사 깊이도 기존의 2배 수준으로 개선됐다. 구남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장비기술팀장은 “세계 최고 성능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로음료 감미료 '아스파탐' 발암성 '진짜 의미'
2023.07.04
큰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인체발암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분석 대상의 규모만으로
결정
되는 것은 아니다. 평소의 식단과 생활방식에 대한 개인의 기억은 불확실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명백한 과학적 증거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연구 과정에서 다양한 보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이탈리아의 쥐 ... ...
R&D 대규모 손질…출연연, 예산 20% 삭감안 제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7.04
정부에서 이를 토대로 얼마나 돌려줄지를
결정
하는 식으로 최종 예산 삭감 규모가
결정
되기 때문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혁신본부가 새로운 지침을 내리면서 각 부처가 R&D 예산 조정을 위해 주말까지 반납하며 회의를 이어가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100일간 냉동시킨 장기, 이식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7.02
148도에서 냉동했다. 냉동 과정에서 동결 보존액을 넣어 장기 안에 있던 물이 얼지 않는 비
결정
상태가 되도록 했다. 해동이 너무 느리면 장기의 조직이 찢어질 수도 있기 때문에 해동 기술도 중요하다. 연구진은 '나노해동법'을 활용했다. 동결보존액을 주입할 때 철 나노입자를 함께 넣어 철 ... ...
역사를 설명하는 과학 연구 현장 가다...IBS 기후물리연구단 랩투어
과학동아
l
2023.07.01
6월 2일 총 10명의 과학동아 독자들이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 랩투어에 참여했다.과학동아 제공 6월 2일 오전 11시 부산대 기계관 건물에 10명의 과학동아 독자가 모였다. ... 1시간 15분이나 훌쩍 넘겨 끝났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7월, 구름 파도 나뭇잎 얼음
결정
그리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녹색 형광빛으로 보는 DNA 접힘 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23.07.01
레터스(Lettuce)라는 이 DNA 모방체는 형광물질에서 형광을 유도한다. 연구팀이 X선
결정
학과 극저온 전자 현미경을 사용해 레터스-형광단 복합체를 만들었다. 그 결과, 레터스가 특이한 방식으로 접혀 형광물질과 연결되고 형광을 유도한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DNA가 3차원 구조로 자가 조립할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