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화
흡수작용
작용
통합
동화
흡수 장치
흡입
d라이브러리
"
흡수
"(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녹아 있는 잉크를 쓰는 보통 볼펜은 투명도가 높기 때문에 빛이 바탕까지 도달해
흡수
되기 때문이다. 이럴 땐 금가루나 은가루를 섞은 듯한 펜을 쓰면 글씨 선이 불투명하기 때문에 어두운 바탕에도 묻히지 않는다. 암녹색 칠판에 흰색 분필로 쓴 글씨가 희게 보이는 것과 같은 이치다.볼펜에서 이런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산화탄소와반응하는 화학물질을 넣은 인공구조물로 나무처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한다. 예를 들어 이산화탄소를 탄산염(CO32-) 형태로 붙잡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한 화학물질을 이용한다. 재밌는 사실은 랙커교수가 딸에게서 에어 스크러버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점이다. 1999년 ...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수 있는 실내 스튜디오에서 이뤄진다. 또 적외선은 흰색에는 잘 반사하지만 검은색에는
흡수
되는 성질이 강해 사람 얼굴을 촬영할 때 머리 부분이 없는 것처럼 나오기도 한다. 호 교수는 “깊이 정보를 제대로 이용하기 위해 별도의 정보 처리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국내 최대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되는 현상을 ‘열섬’이라고 한다. 도시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콘크리트는 낮에 열을
흡수
했다가 서서히 내뿜기 때문에 밤이 되어도 시원해지지 않는다. 또한 아스팔트는 물을 머금지 않기 때문에 물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냉각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그 결과 에어컨 사용이 늘어나고 더 많은 ... ...
기술과 문화가 공존하는 신대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구조하는 데 필요한 벌레 로봇들이죠. 또한 당뇨약이나 항암제가 인체에 지속적으로
흡수
되도록 쾌속 조형을 통해 몸에 약물을 심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새로운 응용이라 신기하게만 느껴질 겁니다.”아무도 개발하지 않은 새로운 기술. 그것을 찾는 일이 IDIM 연구실의 ... ...
① 수학 잘 하면 탄소 줄인다.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4.7kg, 모두 합쳐 281.6k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만한 이산화탄소를
흡수
하려면 1089그루의 잣나무를 심어야 한다. 매일 학교나 직장으로 출퇴근 할 때 타는 자동차나 버스까지 생각하면 훨씬 많은 잣나무가 필요하다.유엔이 관리하는 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IPCC)는 1996년 자동차, ... ...
달에 돌진한 LCROSS, 물 발견했나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정작 중요한 것은 따로 있다. 물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물 분자가 태양빛을
흡수
하는 파장을 분광 관측으로 확인해야 한다. 이 관측 자료는 분석하는 데 상당히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달에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아직 판단할 수는 없는 상태다.하지만 지난 9월 찬드라얀의 관측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로봇화 기술도 필수다.“토목은 가장 오래된 공학분야이지만 동시에 최첨된 공학기술을
흡수
하며 발전하는 통합공학이기도 합니다.”이 교수가 복제토 연구를 시작한 2004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에서 우주토목을 연구한다면 공상가 취급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불과 5년 만에 NASA와 상호협력을 ... ...
미스터리 구름 ‘야광운’ 왜 늘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온도를 내리는 역할을 한다. 상층대기에 떠 있는 이산화탄소는 지표면에서 나온 열을
흡수
하는 대신에 금방 다시 우주와 지표면으로 토해낸다. 이 때문에 지표면은 더 더워지는 것이다. 반면에 상층대기는 오히려 열을 더 빼앗기고 만다. 이산화탄소는 중간권에서‘냉실가스’인 셈이다.그런데 ... ...
바다를 달리는 하늘길 인천대교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교량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교량 상판과 케이블 연결부에는 자동차에 쓰이는 충격
흡수
장치인 서스펜션도 도입해 상판이 흔들리는 일을 막는다. 스프링과 유압장치로 구성되는 서스펜션은 자동차의 경우 도로가 울퉁불퉁해 생기는 충격이나 진동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비슷하게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