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멸균
소독
d라이브러리
"
살균
"(으)로 총 2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심해저 깊은 맛 해양심층수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거친다. 그 뒤에는 경도와 세균을 검사하는 수질 분석을 마친 뒤 마지막으로 자외선
살균
을 거쳐 제품으로 완성된다.해양심층수는 어떤 효과가 있을까. 동국대 의대 손윤희 교수는 “동물실험 결과 해양심층수가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고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물질이 많이 포함돼 있다.4 성조숙증 일으킨다?다이옥신의 독성은 1949년 미국의 염소
살균
제 공장에서 폭발사고가 일어난 뒤 근로자들에게 피부질환이 나타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사람은 다이옥신 하면 1965년부터 시작된 베트남전에 쓰인 고엽제(제초제)를 떠올린다. 여기에 든 ... ...
우유 속으로 풍덩 빠져볼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짜낸 원유가 아닌 제품화된 우유 속의 효소는 저온
살균
이든 고온
살균
우유든 간에 모두
살균
과정에서 활성을 잃어버린다. 이 때문에 우리가 먹는 우유 속에는 활성이 있는 효소가 없다.응고작용을 이용해 치즈 만들기단백질이 우유 속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약 3%다. 간혹 거름이 되라고 식물에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99.99% 제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지난해 9월 미국 환경보호국은 은나노 세탁기의
살균
력이 너무 강하다며 강력한 규제 대상인 살충제에 포함시켰다.사례 둘. 선크림에는 자외선을 차단하는 성분인 산화티타늄(TiO2)이 들어간다. 그런데 지난 8월 미국 환경보호국 산하 벨리나 베로네시 ... ...
“세균은 은나노를 싫어해~.”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살균
효과가 있다는 얘기, 많이 들어 봤죠? 최근 우리나라 연구팀이 은나노 입자가 왜
살균
효과가 있는지를 밝혀 냈어요.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기술연구단 상병인 박사팀과 고려대학교 구만복 교수팀이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DNA, 세포막, 단백질 등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에 따라 특정한 빛을 ... ...
‘양날의 검’ 항생제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죽일까. 항생제에는 박테리아를 죽이는
살균
제와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는 정균제,
살균
과 정균 작용을 모두 하는 항균제가 있다. 항생제가 박테리아를 ‘처치’하는 방식은 크게 네 가지.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박테리아의 세포벽을 터트리는 방법이다. 풍선에 바람을 계속 불어 넣으면 ... ...
우주도 식후경, 잘 먹겠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데운다. 수분함량이 65% 정도로 지구에서 먹는 밥을 그대로 가져간 것과 같다. 고온에서
살균
하는 동시에 포장을 해 수분을 함유 하고 있어 찰지고 탱글탱글한 쌀밥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다아삭아삭, 김치70g, 35㎉조리 방법 : 캔을 따서 바로 먹는다. 한국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이지만 오래 ... ...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먹음직스러운 형태와 맛을 유지하도록 개발됐다. 우주밥은 고온
살균
과 무균포장으로 수분을 65% 함유했다. 김치는 고유의 맛과 씹는 느낌을 주면서도 국물이 흐르지 않도록 캔 안에 흡수패드를 넣었다.고소한 볶음김치는 동결건조 형태로 만들었다. 여기에 매운맛과 짠맛을 ... ...
반도체 나노 조각가, 플라스마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물을 활성수라 부르는데 pH가 2.8~3.0으로 산성을 띤다. 활성수를 테스트한 결과 미생물
살균
력이 뛰어나 농약을 대신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또 상추 같은 채소에 뿌려주면 일시적으로 성장을 멈추게 해 출하시기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과일이나 꽃에 분무하면 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 ...
콜록콜록, 기침약 말고 꿀 주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먹은 그룹보다 기침을 덜하고 잠도 더 잘 잤다. 연구팀은 “꿀이 목의 고통을 완화시키고
살균
작용을 해 기침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꿀은 여러 문화권에서 오래 전부터 감기를 치료하는 민간요법으로 사용됐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최근 미국식품의약국(FDA) 자문회의가 6세 이하의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