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소’ 담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로 이차전지 음극재 성능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3
우수한 전기 전도성 및 기계적 강도를 지닌 그물망 구조의 그래핀으로 감싸 실리콘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는 안정성도 확보했다. 리튬이온전지 충·방전 100회 실험에서 우수한 성과가 확인됐다. 기존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된 리튬이온전지는 30% 정도만 전지 성능이 남았다. 반면 이번에 개발된 ... ...
비틀고 구겨도 멀쩡한 '스트레처블' 에너지 저장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4.19
각광받고 있다. MSC는 저장한 전기를 순간 고출력으로 내보낼 수 있는 장치로 작은
부피
에서 안정적으로 에너지를 저장·방출할 수 있다. MSC에서 전자가 이동하는 통로인 집전체는 고체 금속인 금(Au)으로 만들어져 변형이 매우 제한된다. 전도성이 높고 변형이 용이한 '갈륨-인듐 합금 액체 금속(EGaIn) ... ...
온실가스 메탄, 고부가 화학원료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4.04.16
300℃ 낮은 700℃에서 작동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보다 적은 촉매를 사용해 반응기의
부피
를 30% 이상 줄일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이 활용됐다. 우선 600건 이상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벤치(bench) 규모 실험에 필요한 반응물, 생성물 조성 및 운전 조건 등 인자를 도출했다. 그리고 ... ...
차세대 무음극 전고체 전지 수명 3배 이상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집전체에서 리튬 이온이 리튬 금속으로 변한다. 음극이 없으면 음극이 차지하던 무게와
부피
를 줄여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음극 집전체의 기존 재료인 스테인리스 스틸 등은 리튬과 친화도가 떨어져 리튬 이온이 균일하게 붙지 않는다. 균일하지 않은 표면에서 리튬 금속은 뾰족한 ... ...
[人투더스페이스]① "우주항공청이 강력하고 일관된 비전 제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정보 공유 플랫폼' 구축을 추진 중이다." 우주로테크의 위성 판형 폐기장치는 위성
부피
를 침해하지 않고도 충돌을 회피하거나 위성을 폐기할 수 있다. 우주로테크 제공 Q. '궤도 정보 공유 플랫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면. "위성을 폐기하려면 먼저 내 위성과 다른 위성의 위치와 속도를 계속 ... ...
대용량 수소 폭발 위험 낮춘 '수소 저장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저장 소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수소는 온실기체 배출이 없는 청정 에너지지만
부피
가 크고 위험한 물질이기 때문에 안전한 운반이 중요하다. 해결책 중 하나는 LOHC 기술이다. LOHC 기술을 이용하면 상온·상압에서도 적은 용량의 액체에 대량의 수소를 담아 운반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일 수 ... ...
'눈물의 여왕' 앓는 뇌종양, 환자 70% '이것' 호소
동아사이언스
l
2024.03.29
어지럼증, 안면마비, 연하장애, 음성변화 등이 생길 수 있다. 뇌하수체에 생긴 종양은
부피
가 커지면 시신경을 압박해 시야장애를 일으킨다. 소뇌와 뇌간에 발생하면 균형감각을 잃고 운동장애가 나타나기도 한다. 뇌의 좌측 측두엽에 발생하면 단어가 잘 생각나지 않거나 기억력이 떨어지고 ... ...
장기간 운영한 원전 부품소재 안전성 직접 검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8
질긴 정도가 줄어드는 조사취화, 재료 내부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부피
가 커지는
부피
팽윤, 재료에 균열이 발생하고 부식이 빨라지는 조사유기응력부식균열(IASCC) 등이 있다. 이 중 IASCC는 전세계적으로 원전 내부 구조부품에서 다수 발생한다고 보고돼 원인 규명을 위해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 ...
차세대 원자로 개발 민관협력·2030년대 방폐물 운반·저장 기술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050년대까지 확보한다. 심도에서의 실험을 위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도 확보할 예정이다.
부피
·독성저감 분야는 2026년까지 핵심 세부기술을 확보할 방침이다. R&D 1조1414억원, 인프라 5138억원 등 처분시설 운영까지의 투자소요는 약 1조7000억원으로 도출했고 방폐물관리기금과 ... ...
AI로 불길 찾고 로봇이 불 끄고...소방관 지키는 과학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실시간으로 정보 처리가 가능한 알고리즘 설계를 통해서다.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비
부피
가 줄인 덕분이다. 불이 일어난 화점을 정확히 찾아내는 열화상 카메라 기술도 개발됐다. 소방관들은 화재 현장에서 발원지를 찾는 과정에서 종종 위험에 처한다. 장애물을 넘어 불기둥을 쫓거나 불과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