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명조끼를 입으면 왜 몸이 뜰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7
있게 도와줍니다. 또 구명조끼를 입으면 순간적으로 우리 몸의
부피
가 커집니다. 물체의
부피
가 커지면 물속의 수많은 물 분자가 물체와 부딪치게 되는데 이 과정을 거치면서 물 분자가 물체를 위로 계속 밀어내요. 이러한 원리를 통해 우리는 구명조끼를 입으면 물에 뜰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 ...
뜨거워지지 않는 '스마트워치' 나올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8.10
기체나 액체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면서
부피
가 커져요. 원자의 개수가 그대로인데
부피
가 커지니 빽빽한 정도를 나타내는 밀도가 낮아집니다. 밀도가 낮은 기체와 액체는 가벼워서 위로 올라가고 상대적으로 밀도가 큰 차가운 기체와 액체는 아래로 내려가요. 이런 과정이 반복되면 열이 ... ...
폭발·화재 없는 전고체전지 상용화 앞당길 '설계 도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8.06
공간을 메꾸는 표준 비율을 '균형 임계값'으로 정했다. 균형 임계값에서 양극 입자의
부피
비율은 74%, 고체 전해질은 26%다. 이를 기준으로 에너지밀도와 출력밀도 사이의 설계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양극 입자와 고체 전해질이 섞이며 입자끼리 맞닿는 밀도는 '투과 임계값'으로 정했다. ... ...
5년만의 40도 돌파…'사상 최악' 2018년 기록 넘어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내리쬐는 햇볕에 공기가 달궈지면서 기온이 높다. 단열승온은 단열 상태에서 공기의
부피
를 수축시키면 온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말한다. 기록적으로 무더웠던 2018년 여름에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났다. 당시에는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더 강하고 폭넓게 발달했다. 또 2018년 7월 24일 제 ... ...
재생에너지로도 공기중 이산화탄소 효율적으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4.07.29
가동이 가능할 정도다. 연구팀이 개발한 탄소 포집기는 기존 포집기보다
부피
가 작아 적용할 수 있는 영역도 넓다. 연구팀은 "실험실 수준에서 하루 약 1~3kg의 이산화탄소를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며 "이후 하루 1톤 규모로 키운 다음 화력발전소, 공장 등 대규모 이산화탄소 배출원에도 적용할 ... ...
분자로 원자 수준 자기장 측정하는 양자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25
보려면 관측 도구 역시 작아져야 한다”며 “물질을 시각화하는 기존 기술은 거대하고
부피
가 큰 탐침을 사용하여 작은 원자의 특성을 분석하려고 했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배유정 스위스 연방 재료과학기술 연구소 그룹리더는 “물질을 관찰하고 연구하기 위한 도구의 혁명은 축적된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리튬금속전지 안정성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문제인 충․방전 동안에 일어나는 불균형한 돌기 형성(덴드라이트)과 이로 인한
부피
팽창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며 “향후 안정성이 보장된 고에너지 리튬금속 전지를 차세대 전기자동차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면 전기자동차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크게 향상시킬 수 ... ...
"우주 비밀, 모르는 게 더 많다"...힉스 이후 차세대가속기 개발 앞둔 CERN
2024.07.12
힉스 존재를 증명했다. 한국 CMS팀인 ‘KCMS’는 업그레이드 기간 CMS 검출기의 가장 큰
부피
를 차지하는 뮤온 검출기 중 GEM과 MTD 제작 등에 참여한다. GEM은 다공성 구조를 가진 얇은 금속 포일을 활용해 정밀한 입자 궤적을 추적하고 MTD는 매우 짧은 시간 간격으로 일어나는 충돌 사건을 구분할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젤라틴과 DNA의 차가운 '콜라보', 더위 식힐까
2024.07.10
만들면 실내온도를 바깥보다 최대 16℃나 낮게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에어로젤은
부피
의 90% 이상이 공기로 이뤄진 다공성 물질로 보통 실리카 같은 무기재료로 만든다. 그런데 생체분자인 젤라틴과 DNA로 어떻게 에어로졸을 만들 수 있을까. 최근 중국 쓰촨대 연구진이 젤라틴 단백질(protein)과 ... ...
잇따른 화재 유발…폭발 없는 리튬 전지는 언제?
동아사이언스
l
2024.07.05
방향으로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에너지 밀도가 높을수록 같은 에너지를 가볍고
부피
가 작은 용기에 담을 수 있어 전자기기 사용 시간이 늘고 소형화에 유리하다. 김 책임연구원은 "에너지 밀도가 커질수록 잠재적인 위험성은 커진다"며 "에너지 밀도는 키우면서도 동시에 안전성을 확보하는 게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