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체적
크기
용적
입방적
사이즈
양
수량
뉴스
"
부피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빌딩숲 구조요청자 위치 10m 오차로 빠르게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2.06
과기정통부와 경찰청이 개발한 차세대 방검 외근조끼를 이용하게 된다. 현재 보급된
부피
가 크고 무거운 방탄방검조끼 대신 신체 밀착을 통해 무게를 분산하고 주요 치명상 부위에 방검소재를 적용한 새 방검 외근조끼다. 실제 기술시연에서는 스토킹 용의자가 피해자를 고층 건물 내부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최대 톤당 150달러의 운송비를 부담해야 한다. 수입선 다변화는 값이 비싸면서
부피
가 작아서 운송비 부담이 적은 제품에나 적용되는 대책이다. 정부와 언론의 관심이 묘하다. 온통 ‘차량용 요소수’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그런데 2020년 관세청 자료에 따르면 우리가 수입하는 요소 중 경유차의 ... ...
정수장 '불청객' 깔따구, eDNA로 찾는다
과학동아
l
2023.12.02
공기 중의 eDNA도 분석할 수 있다는 연구가 나오고 있다. 공기는 물이나 토양에 비해
부피
가 커서 분석하려고 하는 DNA의 밀도가 낮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2021년 3월 31일, 국제학술지 ‘피어제이’에 공기에서 동물 DNA를 수집할 수 있다는 개념이 처음 발표된 이후(doi: 10.7717/peerj.11030) 2022년 10월 2 ... ...
[과기원NOW] KAIST 김용대-조성환 교수, 2024 IEEE 석학회원 선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01
장관상을 수상했다. 미래 전기차에 적용될 수 있는 차세대 무음극 전지를 통해 배터리의
부피
를 최소화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수상한 학생들에게는 상장과 총 400만원의 상금이 수여됐다 ... ...
자유자재로 모양 바꾸고 아무데나 붙였다 떼는 '초박형 스피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가능하다. 원뿔 모양의 진동판과 음성 코일을 기반으로 하는 기존 스피커는 딱딱하고
부피
가 커 웨어러블 전자 장치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막 형태 스피커는 진동판이 없고 가벼우며 여러 모양으로 변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팀은 각종 센서나 반도체 등에 활용되는 ... ...
뇌 신경 '피복' 벗겨지는 다발성 경화증, 줄기세포가 치료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28
발견되지 않았다. 뇌 조직
부피
를 확인한 결과 더 많은 줄기세포를 이식받은 환자는 뇌의
부피
가 감소한 정도도 작았다. 연구팀은 “줄기세포 이식이 염증 발생을 꺾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줄기세포가 신경세포의 추가적인 손상을 막는다는 증가도 발견됐다. 줄기세포를 ... ...
[과기원NOW] KAIST, 전도성 140배 향상된 산소 이온 전도성 고체전해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1.22
공동으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새로운 리튬금속전지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전지
부피
는 줄이고 안정성은 높였다. 액체 전해질은 화재 및 폭발 위험이 있는 반면, 고체 전해질은 이를 방지할 수 있고 분리막도 불필요하다. 연구팀은 고체가소제를 고체 고분자 전해질에 첨가해 기존 고체 고분자 ... ...
"중년의 숨은 뱃살, 알츠하이머 치매와 관련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20
통해 확인했고, 복부지방은 복부 자기공명영상(MRI)를 통해 피하지방과 내장지방
부피
를 측정해 확인했다. 뇌 부위의 피질 두께는 뇌 MRI 촬영을 통해 알츠하이머병과 연관이 있는 부위를 측정했고, 아밀로이드와 타우 단백질은 뇌 양전자단층촬영(PET)을 통해 확인했다. 이를 통해 피하지방 대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겨울철 당기는 피부도 촉각일까
2023.11.15
많아져 아래의 공급량이 따라가지 못한다. 결국 수분이나 지질을 잃은 각질세포의
부피
가 줄며 수축할 때 피부 당김이 느껴진다. ● 메르켈세포 관여 미국 스탠퍼드대와 프랑스 화장품기업 로레알의 공동연구자들은 죽은 세포로 이뤄진 각질층의 물리적 변화가 그 아래 살아있는 세포들 가운데 ... ...
전고체전지 상용화 핵심 '저압 구동'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전지를 반복적으로 충·방전했다. 50회를 반복한 결과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층의
부피
가 2배 팽창했다. 단면 이미지를 분석하자 양극 소재와 고체 전해질 사이에 심한 균열이 발생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저압 환경에서 발생하는 열화의 원인이 계면 접촉 뿐만 아니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