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실
과일
실과
결과
결실
너트
조리개
뉴스
"
열매
"(으)로 총 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생길 수는 있다). 전사인자 아미노산 하나가 바뀌자 아몬드는 복숭아와 마찬가지로
열매
안쪽에 리그닌이 주성분인 두껍고 단단한 내과피(심)를 지니고 있다(왼쪽). 내과피를 쪼개면 안에 씨(인)가 들어있다(오른쪽). 위키피디아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6월 14일자에는 아몬드 게놈을 ... ...
1900년 이후 매년 식물 3종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멸종된 종자식물에는 한국의 '무등풀'도 포함돼 있다. 사진은 무등풀의 표본(왼쪽)과
열매
다.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제공 1900년 이후 매년 종자식물 3종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멸종 속도보다 500배 빠른 속도다. 영국 연구팀이 식물에 ... ...
생명연, 식물자원 100종 정보 담은 '니카라과 유용식물' 도감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매우 큰 뽕나뭇과의 나무로
열매
는 오래전부터 전통약재로 사용됐다. 박쥐가 먹는
열매
로도 알려져있다. 이게론을 포함해 향후 신약개발 및 첨단 생명공학산업 활용이 기대되는 식물 100종의 정보를 담은 도감이 발간됐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신약개발 및 첨단 생명공학산업 활용이 기대되는 ... ...
팀 헌트 교수 “기초과학은 럭셔리, 그러나
열매
는 세상을 바꿀 것”
2019.04.29
예측불가능한 결실이 나온다는 점에서 ‘럭셔리’가 맞지만 기초과학 투자로 생기는
열매
는 세상을 바꿀만한 혁신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팀 헌트 일본 OIST 교수가 기초과학의 가치에 대해 말하고 있다. 김민수 기자 reborn@donga.com 영국에서 연구를 했지만 2016년 일본에서 자리를 잡은 헌트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수 있고 불리한 환경으로부터 도피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고로쇠나무
열매
이동을 위한 가장 좋은 수단인 항공기의 노선은 세계를 실핏줄처럼 연결하고 있다. 제한된 시간과 공간을 극복하고 사람이든 화물이든 아마존 열대우림에서 에베레스트 꼭대기까지 구석구석 어디든 보낸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암그루만 있어
열매
를 맺지 못하는 칠레딸기의 꽃 암술에 사향딸기의 꽃가루를 묻혀
열매
를 얻는 데 성공했다. 당시 뒤셴이 직접 그린 그림으로 오른쪽 아래 큼직한 딸기가 보인다. 이보다 한 세대 앞서 현대 분류학 체계를 만든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린네는 딸기에 프라가리아라는 예쁜 속명(屬名 ... ...
한 세기 민족과 운명 함께 한 한반도 고유종 미선나무
동아사이언스
l
2019.03.02
뒤편에 미선나무 100그루를 심는 기념식수 행사를 통해서다. 군락지는 미선나무의
열매
모양을 따라 부채 모양으로 조성됐다. 자생지인 충북 괴산에서 25년 이상 자란 미선나무 두 그루를 포함해 7년 이상 수령의 미선나무 100그루가 식재됐다. 관계자들 외에도 ‘미선’이라는 이름을 가진 일반인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둥그스름하면서도 길쭉하고 양끝이 뾰족해, 길이가 10cm 정도인 럭비공처럼 생겼다. 이
열매
를 가르면 다른 열대과일처럼 상큼한 향기가 풍기고, 하얗고 끈적끈적한 중과피(펄프)로 가득 차 있다. 중과피는 아몬드만 한 카카오빈을 수십 개 쥐고 있다. 스위스 초콜릿 제조업체인 배리칼리보가 201 ... ...
[프리미엄리포트]겨울 간식 '3대 천왕'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9.02.04
달게 바뀝니다. 이때 귤의 성숙을 촉진시키는 성분이 에틸렌입니다. 토마토나 귤처럼
열매
를 딴 뒤에 숙성기간을 갖는 후숙 과일에서 에틸렌이 특히 중요합니다. 먹기 전에 귤을 말랑하게 주무르면 더 달콤해진다는 속설은 에틸렌의 역할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과일에 충격을 주면 ... ...
꼬리로 새를 유인하는 독사
팝뉴스
l
2018.12.23
Spider-Tailed Horned Viper)이다. 네티즌들의 주목을 받은 것은 바로 독특한 꼬리다. 타원형
열매
처럼 보이는 것이 꼬리 끝에 달려 있다. 이 꼬리는 독사의 배를 채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꼬리를 바닥에 늘어 뜨리면 새들이 먹을 것으로 오인하고 몰려든다. 독사는 가만히 누워서도 새를 잡아먹어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