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돈
대형
질서
순서
차례
순번
일렬로 늘어서기
뉴스
"
정렬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대상에 따라 관찰 방법 바꾸는 나노 광학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1.06.17
15㎚(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분해능으로 편광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했다. 또
정렬
방향이 다른 단일 분자를 구분해 측정함으로써 기술을 검증했다. 박경덕 교수는 "독립적으로 연구되던 적응광학과 근접장광학을 최초로 접목한 이번 연구로 근접장광학 분야에 적응광학을 도입하는 ... ...
AI 스스로 진화하는 능력을 터득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4
것과 비슷한 성능을 갖춘 칩을 설계하는 데 성공했다. 사람은 보통 매크로를 열을 맞춰
정렬
하듯 설계하지만 AI는 매크로 자리에 구애받지 않고 이곳저곳 자유롭게 배치한 것이 통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구글에 공급해 AI칩 ‘텐서프로세싱유닛(TPU)’ 개발에 이미 적용됐다고 밝혔다.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휘어지는 빛
2021.06.11
6개월 전이나 6개월 후에는 지구가 태양의 반대편에 위치하므로 별-지구-태양의 순서로
정렬
하게 되어 별빛이 태양 근처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지구로 들어온다. 따라서 이 경우에 별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있다. 그러니까, 아주 멀리 있는 별을 6개월의 시차를 두고 관측해서 비교하면 태양 때문에 ... ...
[과기원은 지금] 홍석원 GIST 교수팀, 의료물질 '감마아미노산' 전환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5.18
교수팀은 17일 차세대 메모리에 적용되는 반강자성체에 기계적 진동을 가해 자기
정렬
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반강자성체는 물질 중의 자기 배열이 2조로 갈라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향해, 전체로서 자력이 나타나지 않는 물질이다. 이 기술은 컴퓨터 기반 차세대 메모리 소자 등에 ... ...
IBS·포스텍, 자성 상태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2차원 자석 합성
연합뉴스
l
2021.05.17
(이웃한 스핀이 같은 방향인 상태)과 '반강자성'(스핀 방향이 서로 반대인 상태) 등 4가지
정렬
상태로 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김준성 연구위원은 "자성 상태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2차원 자석을 합성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2차원 자석을 이용한 차세대 스핀 소자 개발에 기여할 것 ... ...
'컴퓨터가 무거워졌다' 데이터 무게의 진실
과학동아
l
2021.04.03
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선임연구원은 “데이터는 불규칙한 정보를 일정한 패턴으로
정렬
해 저장하는 개념”이라며 “이를 엔트로피(Entropy) 변화의 측면에서 설명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렇게 계산한 데이터 1비트의 질량은 3.19 x 10의 -38승kg 수준입니다. 가령 1TB의 용량을 가진 데이터 ... ...
3D 프린팅으로 나노미터 구조물 수천개 동시에 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01
유지하려면 불순물을 최소화해야 한다. 연구진은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구멍이
정렬
된 비전도성 마스크와 실리콘 기판이 위아래로 분리된 상태로 놓여 있는 증착 챔버 안으로 나노입자와 하전을 주입했다. 이온이 먼저 마스크 위에 축적되면서 마이크로미터 크기 구멍마다 정전기 렌즈가 ... ...
주변 물질 삼키고 에너지 내뿜는 블랙홀 자기장 모습 첫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24
형태를 띤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외부에서 강한 자기장이 영향을 주면 한쪽 방향으로만
정렬
된 전자기파가 나오는데 이를 편광이라고 한다. 블랙홀 가장자리에서 처음으로 관측된 편광으로 강력한 자기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고 자기장으로 인해 양쪽 방향으로 강한 에너지를 내뿜는 ... ...
2차원 반도체 소재 결함 없앴다…단결정 대면적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1.03.18
수 있는 기술이다. 단결정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자 수준의 결정들을 한 방향으로
정렬
시켜야 한다. 연구진은 나노미터(㎚·10억분의 1m)급 두께의 2차원 반도체 소재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TMD)이 톱니 모양 표면의 금 기판 위에서 단결정 합성하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어 TMD 결정 방향이 금 ... ...
[한 토막 과학상식] 초전도 현상 보이는 강상관계 물질 '훈트 금속'이란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물질의 대표적 예는 훈트 금속이다. 훈트 금속은 전자들의 스핀을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정렬
시키는 물리작용인 ‘훈트 상호작용’이 전자 사이 상호작용에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훈트금속은 전기저항 없이 전류가 흐르는 초전도 현상을 보이거나 외부 조건의 미세한 변화에도 물성이 크게 바뀌는 ... ...
이전
7
8
9
10
11
12
13
14
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