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돈
대형
질서
순서
차례
순번
일렬로 늘어서기
뉴스
"
정렬
"(으)로 총 234건 검색되었습니다.
피 한 방울로 중증 알츠하이머 진단…정확도 88%
연합뉴스
l
2020.01.15
0억분의 1m) 수준인 원기둥 모양의 탄소 소재이다. 무작위로 방향성을 가질 때보다
정렬
할 때 저항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분석물 측정의 민감성을 높일 수 있다. 실제 개발된 센서는 기존 탄소나노튜브 기반 바이오센서 대비 100배 이상의 민감도를 보였다. 이 센서는 알츠하이머병의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만든다. 하지만 전사를 세 번 거쳐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크기로 LED를
정렬
하고 화소를 만드는 것은 LED 이송헤드의 크기와 기계적 정확도 등의 문제로 어렵다.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데 한계가 있던 이유다. 연구팀은 적녹청 LED 활성층을 수직으로 쌓고 반도체 패터닝 공정을 ... ...
빛 색깔과 편광 동시에 제어하는 소형 광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육각연필을 닯은 반도체 기반 육각형 마이크로 막대구조를 활용해 복잡한 양자선
정렬
문제를 해결했다. 머리카락보다 얇은 육각형 막대구조를 먼저 만든 뒤 이 구조를 기본 틀로 활용해 얇은 층의 물질을 성장시켜 막대 구조의 모서리 방향을 따라 1차원 구조인 양자선들이 자발적으로 배열되도록 ... ...
화학약품 부작용 유발하는 분자 ‘카이랄성’ 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잘
정렬
하면 만들 수 있다. 그러나 LCD용 액정 재료와는 달리 굽은 형태의 액정 분자를
정렬
하기 어려웠다. 극한으로 분자들의 거동을 제어하고 균일한 배향을 유도하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LCD의 핵심 재료로 쓰이는 일반형 액정분자보다 분자구조가 더 복잡한 굽은 형태의 액정 ... ...
쥐 통해 배양하는 암세포 시료 분석 정확도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그 결과 인간 유전체의 49%에 달하는 영역에 쥐의 유전자 서열 조각들이 성공적으로
정렬
됐다. 그 중 409개의 암 관련 유전자도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쥐의 정상세포로 인해 인간 암 연구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었다”고 분석했다. 그런 다음 연구팀은 쥐의 유전체가 인간 유전체 분석에 ... ...
고체에서 액체가 되는 순간 분자 상태 첫 촬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9.30
모습 같았다”고 설명했다. 또 고체가 액체로 변화는 과정에서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정렬
된 고체 영역과 불규칙적으로 배열된 액체 영역이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기존에는 모델 실험이나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상전이 현상들을 간접적으로 연구해왔으나 이번에 실제 분자 ... ...
달 탐사 19개월 미뤄졌다지만…착착 진행되는 한국형발사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12
4기의 엔진 간 추력이 균일하지 않을 경우 대응할 수 있는 기술과 클러스터링시 엔진
정렬
기술 확보가 필요하다. 항우연은 올해 말 조립되는 1단 QM을 활용한 종합연소시험을 통해 최종 성능을 확인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누리호 1단에 사용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온 초전도 현상 비밀 쥔 '자성 폴라론'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8.17
'업'과 '다운'을 무한 반복하고 있는 양자상태다. 여기에 외부 전자가 들어가면 스핀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면서 자성 폴라론이 된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온 초전도 현상을 밝히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초전도는 물질을 절대온도 0도(0K, -273.15도) ... ...
초소형 회로제작에 쓰이는 '나노와이어' 배치·
정렬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후 방향성 오스트왈드 라이프닝 현상에 따라 액체방울이 특정 방향으로 표면에 스스로
정렬
하게 된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최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이제까지 알기 어려웠던 산화바나듐 단결정 생성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며 “다양한 종류의 단결정 산화바나듐 나노와이어를 ... ...
반도체 특성 가진 '그래핀 양자점' 결함률 낮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0
박오옥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포도당 기반의 그래핀 양자점 합성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정적인 청색빛을 내는 그래핀 양자점 발광소 ... ‘나노 레터스’ 지난 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용액 화학으로 합성된 잘
정렬
된 다양한 크기의 단결정 그래핀 양자점이다. KAIST 제공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