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 해독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채워 넣는 건 여전히 역부족이었다. NGS는 DNA를 무작위로 무수히 많은 조각으로 자른 다음, 각 조각의 염기서열을 병렬로 해독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짧은 시간에 많은 유전체를 확인할 수 있었고, 개인의 유전체를 분석하는 데 드는 비용을 수억 원에서 100만 원 수준으로 크게 낮췄다. 하지만 ... ...
- [나의 미국유학일기] 학생과 기업의 윈윈 취업 박람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박람회가 끝난 뒤 친구들과 기숙사에서 쉬고 있는데, 자정쯤 e메일 한 통이 배달됐다. 다음 날 바로 면접을 보자는 것이었다. 갑작스러운 연락에 잠도 제대로 못 잔 상태로 면접을 봤지만, 다행히 결과는 좋았다. 몇 차례 더 전화 면접을 거친 뒤 인턴십에 합격했다. 이처럼 취업 박람회는 인턴십뿐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비밀을 설명해드립니다. 털갈이의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110p)☞바로가기문제. 다음 척추동물 가운데 인장강도(잡아당겼을 때 끊어지지 않고 견디는 힘)가 가장 큰 털을 가진 종은 무엇일까요? ①코끼리 ②곰 ③기린 ④인간(성인) ⑤인간(어린이)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는 환절기는 머리카락이 ...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모기 기피제 효과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9호
- togoi)는 여름철 해안가에서 주로 활동합니다. 일몰 후부터 활동을 시작해 밤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3시까지 가장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산에 가면 자주 볼 수 있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눈에 익을 겁니다. 흰색 띠가 몸에 줄줄이 있는 모습이 스포츠의류업체 아디다스의 로고와 닮아 ‘아디다스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알고리즘보다 463배다. 무질서한 입자들 사이에 생긴 질서연구팀은 단순히 유리 입자의 다음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 알고리즘이 그렇게 예측하는 핵심 원리를 알아내고자 했다. 사람이 데이터 입력으로 알고리즘을 학습시켰지만, 그래서 알고리즘이 어떤 생각으로 그런 결과를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2009년 8월 나로호 1차 발사가 실패로 돌아간 뒤, 다음 발사를 준비하는 약 10개월은 기나긴 인고의 시간이었다. 연구원들은 주말도 자진 반납하고 발사 실패 원인 ... 해군함정이 나로호의 파편을 수거했다. 처참한 두 번째 실패였다. 실패 원인을 찾기 위한 노력은 다음 화에서 이야기한다 ... ...
- [매스미디어] 시네마틱 드라마, SF8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두드러지면서부터다. 우리나라는 2017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다음과 같은 지능사회 윤리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사람에 가까워지려는 AI 그리고 AI로 더 완벽한 사회를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SF8! 언젠간 다가올 수 있는 미래를 SF8으로 살펴보며, 그런 시대가 ... ...
-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운석 재테크 해볼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건 비교적 최근이다. 2014년 3월 9일 오후 8시, 경남 진주 일대 하늘은 불바다가 됐다. 다음 날 진주 지역 4곳에서 커다란 운석이 발견됐다. 국내에서 운석이 발견된 건 1943년 전남 고흥군 두원면에 떨어진 ‘두원 운석’ 이후 처음이었다. ‘진주 운석’이 생긴 것이다. 당시 진주 운석의 가치가 수억 ... ...
- [만화뉴스]생선 비늘로 만든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미네랄을 없애 젤라틴만 남겼어요. 연구팀은 이 젤라틴을 얇은 필름으로 만들었지요. 그 다음, 황화아연과 구리로 만든 발광물질, 전기를 전달할 매우 작은 은나노 와이어를 이 필름 안에 넣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만들었어요.연구팀이 생선 비늘로 만든 디스플레이는 투명도가 높고, 표면 ... ...
- 과학동아 천문대장이 내는 '이달의 퀴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구 가까이 근접한 이케야-세키 혜성이에요. 당시 최고 밝기가 -10등급에 달했지요. 그 다음으로는 2007년 1월, 지구 근처를 통과한 맥노트 혜성이 -6등급의 밝기를 자랑했답니다. 아틀라스 혜성은 예상 최대 밝기가 -5등급이니, 이대로 다가온다면 그 뒤를 이을 예정이지요. 5월에서 6월 사이에 최대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