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
경매
한메일
한멜
다음다음
아름다음
아름
d라이브러리
"
다음
"(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태양빛 예측해 발전 효율 높인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연구팀은 MCM 모형을 이용해 일조 강도를 여러 단계로 나누고 현재의 일조량을 바탕으로
다음
기간에 일조 강도가 어떤 단계에 있을 확률이 가장 높을지를 계산했습니다. 그 결과를 실제 관측 수치와 비교해보니 기존 모형에 비해 신뢰도가 올라갔습니다. 요아킴 뭉크함마르 웁살라대학교 ... ...
[특집] 두 장, 더 깨끗한 화장실, 더 빨리 이용하기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수를 알아내기 위해 처음 만들었죠.여자화장실이 남자화장실에 비해 붐비는 이유는 크게
다음
과 같아요. 첫째, 보통 화장실은 같은 면적으로 동등하게 나눠서 짓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대변기와 소변기의 구분이 없는 여자화장실과 달리 남자화장실에는 공간을 적게 차지하는 소변기가 들어가 ... ...
[매스크래프트] #8. 광복절 75주년 특집!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의 태극기 작도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여러분도 두 가지 작도법과 태극기의 길이 비를 이용해서 완벽한 태극기를 그려보세요.
다음
매스크래프트에선 손으로 직접 그린 태극기를 보여드릴게요 ...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두고 세로축을 초신성의 밝기로 둔 뒤 기록된 밝기에 해당하는 위치에 점을 찍으면
다음
과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습니다. 관측 기간은 케플러가 훨씬 긴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신성의 유형을 분류하는 데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밝기가 최대치에 달했다가 약해지는 부분에 대한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올라가는 뼈대를 두껍고 튼튼하게 제작하고, 상체의 뼈대는 최대한 가볍게 제작했다. 그
다음
은 가죽을 씌울 차례다. 박제사들에게는 가장 조마조마한 작업이다. 마네킹에 가죽이 딱 맞지 않으면 마네킹을 수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마네킹 위에 가죽을 올려놓고 조금씩 움직여가며 가죽을 씌운다. ... ...
'갤럭시 A 퀀텀'에 탑재됐다는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엇?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하나를 던져서 나온 수를 순서대로 기록한다고 할 때, 이 숫자 배열은 어떤 규칙도 없다.
다음
에 어떤 숫자가 나올지도 모른다(물론 숫자 1~6 중 하나를 찍을 순 있겠지만). 이처럼 예측할 수 없는 숫자 나열이 바로 난수다. 난수는 보안에 필요한 암호키 외에도 온라인 RPG(역할수행게임)에서 아이템을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다음
에 유행할 바이러스가 뭔지 알았다면 해야 할 일은?! 바로 거기에 맞는 치료제나 백신을 개발하는 거지. 새로운 적에 대항할 약물을 개발 중이라는데, 그게 뭘까? 신종 전염병도 막는 ‘범용백신’ 나올까WHO는 매년 한 해 동안 유행할 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예측해 새로운 백신을 만들어요. ... ...
[수학뉴스] 6800년을 날아온 손님, 니오와이즈 혜성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맨눈으로 볼 수 있는 니오와이즈 혜성이 지구를 찾아왔습니다. 1997년에 지구 주변을 지나간 헤일-밥 혜성 이후로 맨눈으로도 볼 수 있는 혜성 ... 이름은’처럼 혜성이 부서져 지구에 떨어질 가능성은 없습니다. 니오와이즈 혜성의
다음
관측은 약 6800년 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효율성처럼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주제를 찾아 수학의 눈으로 바라보면 어떨까요?
다음
이그노벨상의 주인공은 여러분이 될지도 몰라요! Q 똥 연구만의 매력은?똥과 오줌은 아주 훌륭한 연구 주제예요. 동물과 관련한 유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누구나 아주 재미있어 하죠. 실제로 모든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문제를 많이 풀면 수학 실력이 좋아질까요?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나와 있는 수학 참고서나 문제집은 대부분 예시 문제를 어떻게 푸는지 보여주고 바로
다음
에 숫자만 바꾼 같은 유형의 문제를 풀어보게 합니다. 학교 수업이나 인터넷 강의 또한 이런 패턴입니다. 수학 학습에서 이런 방식은 즉각적인 효과가 있기에 계속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그 ... ...
이전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