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대한민국을 깡타한 '나 비 효과' 역주행의 신화, 깡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지금까지 이런 사례는 없었다.’ 깡은 2017년 12월에 발매한 가수 비의 미니앨범 ‘MY LIFE愛’의 타이틀곡이다. 당시 깡은 이른바 ‘실패한 노래’였다. ... 면모를 보였다. 비의 넓은 아량만큼 깡의 인기도 한동안 더욱 커질 것 같다. 깡에 이은 비의 다음 행보도 1일 7깡 하며 기다려보자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내게 맞는 수학 문제집은?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본인이 쉽게 풀 수 있는 문제집으로 복습하면 기초가 튼튼해져 다음 단계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유형3 학교 수업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 이 친구들은 문제집이 필요 없습니다. 대신 특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수업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기초가 부족하다는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만난 재밌는 문제였는데, 해답 코드가 너무 길어 모두 보여줄 수 없어 아쉽네요. 다음에는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최산’ 님이 올려주신 45번 문제를 풀어볼 건데요, 삼각수, 오각수, 육각수 등 기하학적인 수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오일러 문제 제보는 계속해서 받고 있으니 해당 게시물에 댓글로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탈출에서 성공하면 다음 목표는 무사히 체외로 빠져나오는 것이다. 그래야 다른 개체의 숙주세포를 인질 삼아 증식을 이어갈 수 있다. 이때 가장 큰 적은 인체의 면역시스템 이다. 그래서 바이러스는 면역세포를 공격하거나 면역반응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타깃으로 삼은 세포에 단백질인 퍼포린(perforin)을 뿌려 세포막을 녹여 구멍을 낸다. 그런 다음 그랜자임(granzyme)을 세포막 내로 침투시켜 세포질을 해체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 같은 비정상세포가 자살하도록 유도한다. 도움 T림프구는 각종 신호물질을 분비해 다른 식세포나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1796년 개발)보다 166년이나 늦게 세상에 나온 셈이다. 프루소프는 다음 목표로 에이즈를 겨냥했다. 그는 이독수리딘과 마찬가지로 티미딘과 구조가 유사해 1960년대 항암제로 개발됐으나 임상시험에서 실패한 약물인 스타부딘에 주목했다. 프루소프가 스타부딘을 재합성해 HIV에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성화하려면 T림프구나 수지상세포 둘 중 하나에는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먼저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 표면에 발현된 MHCⅡ와 T림프구가 결합하면 면역과 관계된 여러 신호를 내보낼 뿐만 아니라, T림프구는 B림프구의 활성을 돕는 도움 T림프구가 된다. 이 도움 T림프구가 ... ...
- [기획] Player. 수학도 속전속결! 게임하면서 배워봐!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통과할 수 있는 낮은 레벨부터, 분수의 덧셈과 뺄셈, 곱셈, 나눗셈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다음 레벨로 넘어갈 수 있는 높은 레벨까지, 수십 개의 레벨로 나눠져 있어. 그래서 본인의 실력에 딱 맞는 레벨부터 시작할 수 있지. 이 게임이 수학 공부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2015년 캐나다 ...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이런 변화의 계기는 바이러스 유전체 분석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이 내용은 다음 장에서 자세히 나온다) 기존에 알려진 바이러스보다 좀 더 세균에 가까운 새로운 바이러스들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크기가 세균만큼 큰 거대 바이러스들이 주목받고 있다.한 예로 2017년 발견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이라며 “20~30년이 지나면 지금의 발견이 덜 중요해질 수도 있지만, 우리 모두에게는 다음 세대에 진보적인 학문의 전통을 전달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했다.한편 우리 몸에는 후천 면역보다 훨씬 더 즉각적이고 공격적인 면역시스템이 존재한다. 병원체가 들어오면 백혈구의 일종인 ... ...
이전119120121122123124125126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