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현대 기술로 재탄생한 반 고흐의 그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남겼는데, 이중 130점이 영화로 재탄생했지요. 바로 지난해 11월 우리나라에서 개봉한 최초의 유화 애니메이션 예요. 영화에서는 반 고흐의 편지를 전해 주던 우체부 조셉 룰랭의 아들인 아르망 룰랭이 주인공으로 등장해요. 반 고흐가 죽은 지 1년이 지난 후, 아르망 룰랭은 반 고흐가 ... ...
- [과학뉴스] 인공 DNA로 단백질 만들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상에 없던 새로운 단백질이 만들어졌다. 플로이드 로메스버그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박사팀은 인공 염기 X, Y를 주입한 대장균이 새로운 아미 ... 로메스버그 박사는 “우리 연구는 생명이 살아가는 방식을 바꿀 수 있는 가장 작은 변화이자, 최초의 변화”라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465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사용하면 디스플레이의 각 층이 휘어질 때 받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사실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 새로 만든 점착제로 실험한 결과 상온에서 60만 번, 저온과 고온에서 10만 번을 접었다 펴도 디스플레이에 아무런 이상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교수는 “폴더블폰을 만들기 위한 플렉시블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기사와 동영상, 웹툰 등 콘텐츠를 추천하는 딥러닝 기반 기술인 ‘에어스(AiRS)’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 에어스 기술의 핵심은 두 가지다. 관심사가 비슷한 사용자들을 네트워킹하는 머신러닝 기법(협력필터 기술)과 개인의 텍스트 콘텐츠 소비 유형을 분석해 예측하는 인공신경망 기술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환점이 되던 때다. 2013년 퇴직할때까지 상변화메모리(P램) 등 무수히 많은 세계 최초의 신(新) 메모리 제품을 개발했다. 입사 당시 2만 원 대였던 삼성전자의 주식은 퇴직할 때 150만 원 정도로, 75배 이상 훌쩍 뛰며 세월의 변화를 실감하게 했다. 8비트 컴퓨터 개발에 박수를 보내던 세상이 빅데이터,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fs(펨토초·1fs는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E-XFEL은 최초에 방출되는 한 줄기의 방사광을 여러 갈래로 나눠 서로 다른 목적의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그 갈래 하나 하나를 빔 라인이라고 한다. 현재 E-XFEL에는 6개 빔 라인이 구축돼 있으며, 이 가운데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ISS는 컴퓨터 고장, 모듈 파손 등 크고 작은 사건 사고를 반복했다. #실험 ISS에는 최초의 실험용 모듈인 미국의 ‘데스티니(Destiny)’, 유럽우주국(ESA)의 ‘콜럼버스(Columbus)’, 일본의 ‘키보(KIBO)’ 등 우주실험실 6개가 구비돼 있다. 현재도 미세 중력 실험, 생명과학, 우주과학, 지구과학, 약학 등 ... ...
- [Culture] 우리 개가 자꾸 똥을 먹어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동물행동의학 및 야생동물의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고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국내 최초로 동물의 정신과 진료를 전문으로하는 비아동물행동클리닉을 운영했고, 해마루케어센터 센터장으로 동물정신과와 호스피스 진료를 했다. 현재는 미국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데이비스)에서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해서 학점을 받을 수 있는 ‘학부생연구참여프로그램(URP)’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모두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들이다. 신 입학처장은 “KAIST의 경우 연구를 하고 싶어서 지원하는 학생이 많다”며 “KAIST에서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수학과 최초 여성 종신 교수모렐 교수는 만 30살이던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최초로 여성 종신 교수가 됐습니다. 종신 교수란 재계약이나 정년에 대한 제한이 없이 평생 정교수직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당시 하버드대 과학학부 부장이었던 제레미 블록스햄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 ...
이전1161171181191201211221231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