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학부생이 연구에 참여해서 학점을 받을 수 있는 ‘학부생연구참여프로그램(URP)’도 국내 최초로 도입했다. 모두 학생들이 학업과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정적인 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들이다. 신 입학처장은 “KAIST의 경우 연구를 하고 싶어서 지원하는 학생이 많다”며 “KAIST에서 ... ...
- [과학뉴스] 3D 프린터로 ‘살아있는 문신’ 인쇄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세계 최초로 살아 있는 세포로 3D프린팅을 하는 데 성공했다. 그간 학계에서는 포유류의 세포로 3D프린팅을 시도했지만 쉽게 손상되는 탓에 번번이 실패했다. 이번에는 인체에 무해한 박테리아를 원료로 삼았다. 쉰허 자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인체에 무해한 박테리아를 원료로 ... ...
- [Culture] 천재의 공간에서 그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날개의 형태를 점점 단순화시켜서 사람의 몸 바로 옆에 움직이지 않는 날개가 달린 최초의 글라이더를 생각해냈다. 뿐만 아니라 그는 바람을 파악할 수 있는 풍향계와 낙하산도 설계했다.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제작하기 약 400년 전이었다. 뾰족한 피라미드 구조로 된 그의 낙하산은 2008년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던 역사적 순간에 태어났지만, 돌 무렵엔 이미 삼보컴퓨터가 국내 최초 가정용 컴퓨터를 내놨다. 말과 함께 디지털 기기의 사용법을 습득했다. 하지만 하루가 달리 발전을 거듭하는 요즘 기술은 이들에게도 신기할 따름이다. 샤워를 마친 권 씨는 머리의 물기를 털며 옛 생각에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ISS는 컴퓨터 고장, 모듈 파손 등 크고 작은 사건 사고를 반복했다. #실험 ISS에는 최초의 실험용 모듈인 미국의 ‘데스티니(Destiny)’, 유럽우주국(ESA)의 ‘콜럼버스(Columbus)’, 일본의 ‘키보(KIBO)’ 등 우주실험실 6개가 구비돼 있다. 현재도 미세 중력 실험, 생명과학, 우주과학, 지구과학, 약학 등 ... ...
- [필즈상 미리보기] 필즈상 0순위, 어린 나이가 변수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수학과 최초 여성 종신 교수모렐 교수는 만 30살이던 2009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수학과 최초로 여성 종신 교수가 됐습니다. 종신 교수란 재계약이나 정년에 대한 제한이 없이 평생 정교수직을 보장하는 제도입니다. 당시 하버드대 과학학부 부장이었던 제레미 블록스햄교수는 “세계에서 가장 유망한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봇뿐만 아니라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기상천외한 로봇이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됐지요. 바로 절대 넘어지지 않는 풍선 로봇 ‘발루’와 멀티 이동 로봇 ‘알프레드’였어요. 그밖에도 펜싱선수처럼 걷는 로봇 ‘나비’, 국제로봇축구대회인 로보컵에서 3년 연속 우승한 ‘다윈-OP’, 보조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환점이 되던 때다. 2013년 퇴직할때까지 상변화메모리(P램) 등 무수히 많은 세계 최초의 신(新) 메모리 제품을 개발했다. 입사 당시 2만 원 대였던 삼성전자의 주식은 퇴직할 때 150만 원 정도로, 75배 이상 훌쩍 뛰며 세월의 변화를 실감하게 했다. 8비트 컴퓨터 개발에 박수를 보내던 세상이 빅데이터,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fs(펨토초·1fs는 1000조분의 1초) 단위로 화학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고 말했다. E-XFEL은 최초에 방출되는 한 줄기의 방사광을 여러 갈래로 나눠 서로 다른 목적의 실험을 할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그 갈래 하나 하나를 빔 라인이라고 한다. 현재 E-XFEL에는 6개 빔 라인이 구축돼 있으며, 이 가운데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국내 최초 영재학교인 한국과학영재학교는 2003년 부산과학고에서 영재학교로 전환한 뒤 2009년에는 KAIST 부설로 전환됐다. 이공계 영재 육성이라는 설립 이념 아래 최근 4년간 졸업생 100%가 이공계열로 진학했다. 이공계 인재의 산실, 과학영재학교로 가는 길을 김동훈 한국과학영재학교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