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섀넌은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양을 ‘비트(bit)’라는 단위로 나타낼 수 있다고 최초로 정의했어요. 비트는 이진수 값인 0 또는 1을 가질 수 있지요. 섀넌의 정보이론을 토대로 메시지에 들어있는 오류를 발견하기 위한 여러 이론이 발전했습니다. 신호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수학적 코드전달받은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밝혀졌다.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통해 침투한다. 세균이 점막에 접촉하는 최초 몇 초는 감염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지만, 세균이 점막 표면에 닿았다는 사실을 어떻게 인지하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우르스 예날 바젤대 바이오젠트룸 연구그룹 교수팀은 병원성이 없는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그때 생기는 증기로 터빈을 돌려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포항에 최초로 들어서며 올해 말 완공 예정이다. 이 교수가 문제를 제기하는 부분은 지열발전소의 건설과 발전 방식이다. 지열발전소는 땅속의 열을 끌어 올려야 하는 만큼 지하 4.3km 깊이까지 관을 2개 뚫고, 여기에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육이 특징이다.시트룰러스 라나투스는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이집트 나일강 근처에서 최초로 재배됐을 거라 추정돼요. 그 뒤 7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거치며 전세계의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3세기, 고려시대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시작이었지요 ... ...
-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못해 ‘씨 없는 수박’이 된답니다. 우리나라엔 이 기술을 1953년에 우장춘 박사가 최초로 선보였지요.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돌연변이란 이유로 거부감을 갖기도 한답니다.이에 한편에서는 전통적인 육종 방법으로 씨가 작은 품종을 만들고 있어요. 씨가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 중 절반 이상은 해외 석학들이다. 정유진 IBS 연구평가팀장은 “연구단 출범 후 최초 평가인만큼 지난 5년간의 성과와 과학적 진보에 대해 국제적 수준에서 평가 의견을 받고 있다”며 “모든 평가위원들이 2박3일간 연구단 전체를 만나보고 질의응답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IBS는 올해 9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학위를 받았지만, 1950년대 말부터 응용물리연구소에서 일하면서 미국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위성항법시스템(NNSS)의 개발 책임자로 일했습니다. 커쉬너 박사는 본인이 찾은 3가지까지 합쳐서 총 8가지가 볼록오각형으로 테셀레이션할 수 있는 방법의 전부라고 주장하며 이를 정리로 만들었습니다. 그 ... ...
- [DJ CHO의 롤링수톤] 김소희의 ‘춘향가’ 판소리 명창의 비법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등 전통예술이라면 분야를 가리지않고 뛰어났던 김소희 명창은 1972년에는 한국 국악 최초로 미국 카네기홀에서 공연을 합니다. 판소리는 우리나라에서 오랜 세월에 걸쳐 전해 내려온 전통음악으로, 언제 어떻게 시작했는지 정확히는 알 수 없습니다. 판소리는 긴 이야기를 노래로 부르는 양식이라 ... ...
- [과학뉴스] 전통 한지로 ‘종이 전극’ 개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불린다. 조 교수는 “나노입자를 직물 소재에 직접 코팅해 전극을 제작한 최초의 사례”라며 “웨어러블 전자 소자 시장에 새로운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467-017-00550-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크다. 49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진정한 의미의 양자컴퓨터를 최초로 개발할 곳은 구글이 될 가능성이 크다. 구글은 올해 안으로 큐비트 49개로 이뤄진 49큐비트 칩을 이용한 양자컴퓨터를 개발하기로 했다. 49는 ‘양자 우월성(Quantum supremacy)’에 근거해 나온 숫자다. 양자 ... ...
이전121122123124125126127128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