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d라이브러리
"
최초
"(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방법 중 하나에 속한다는 것을 컴퓨터로 밝혔지요. 1918년 독일 수학자 칼 라인하르트가
최초
로 5가지 방법을 찾은 이래 2015년까지 총 15가지 방법이 알려져 있었거든요. 이제 더 이상 볼록 오각형 테셀레이션의 새로운 방법을 찾겠다고 매달릴 필요가 없겠죠 ... ...
[과학뉴스] ‘똥’으로 계절 변화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장내미생물에도 계절에 따른 주기가 있다는 사실이
최초
로 밝혀졌다. 저스틴 소넨부르크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팀은 아프리카 탄자니아에서 수렵채집을 하며 사는 소수 민족인 하드자부족 188명의 대변을 채취해 장내 미생물을 분석한 결과를 ‘사이언스’ 8월 25일자에 발표했다. 대변 샘플의 ... ...
[과학뉴스] 여성 바이킹 전사, DNA로 존재 첫 확인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분석을 통해 바이킹 시대 여성 전사의 존재가
최초
로 확인됐다. 샬롯 헤든스티에나존슨 스웨덴 웁살라대 고고학및고대사학과 교수팀은 바이킹 전사의 무덤에서 발견된 유골의 DNA를 분석한 결과, 무덤의 주인이 여성이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무덤은 스웨덴에서 가장 유명한 유적지 중 하나인 1 ... ...
[그래픽 뉴스] 스코틀랜드, 세계
최초
로 부유식 풍력발전기 가동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괴물급 폭풍이 발생한다. 카시니는 적외선 분광기를 이용해 2010년 12월 발생한 폭풍을
최초
로 우주에서 촬영하는 데 성공했다(doi:10.1038/nature10205). 폭풍은 약 3개월 동안 토성의 북위 30도 부근을 돌면서 동서로 30만km에 걸쳐 거대한 구름을 형성했다. 사진에는 토성 대기의 깊숙한 곳에서 얼음 구름이 ... ...
[Career] “이런 대학 또 없습니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DGIST 1회 졸업생이 될 4학년 학부생 3명을 만나 DGIST의 강점을 들어봤다. DGIST는 국내
최초
로 모든 학생이 전자교재로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지금까지 개발한 전자교재만 40여종이다. 올해 8월에는 교보문고에서 수학 분야 전자교재 1종을 출판해(9월 중 1종 추가 출판 예정) 누구나 사볼 수 있게 했다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인간은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
의 생물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 ...
[Focus News] 해수 온도 급상승 한반도 위험주의보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유지된다면 한반도를 강타하는 태풍의 수가 2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태풍의
최초
발생 지역도 적도에서 점점 더 북상하고 있다. 제임스 코신 NOAA 기후데이터센터 연구원은 30년간(1982~2012년) 열대성저기압이 가장 큰 에너지를 갖는 위도를 분석한 결과 점점 북상하고 있는 것으로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마을을 이뤄 살아왔다. 1953년 에드먼드 힐러리와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를
최초
로 등반한 동반자도 텐징 노르게이라는 셰르파였고, 현재까지 세계에서 에베레스트를 가장 많이 오른 기록(21회)을 보유한 사람도 아파 셰르파라는 셰르파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런던대, 오스트리아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소프트웨어도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연구가 산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DGIST에서 국내
최초
로 정보통신 융복합 연구의 모델을 구축해보겠다는 목표가 있었다. Q. 사이버물리시스템은 왜 중요한가.미국에서는 오바마 정부 시절이던 2010년 대통령 직속 기구로 설치한 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에서 ... ...
이전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