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더욱 재밌어질 거예요! “나는 이제 죽음의 신,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도다.”역사상 최초의 핵실험이 성공한 뒤,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이렇게 말했어요. 그는 원자 폭탄을 만드는 미국 ‘맨해튼 프로젝트’의 총책임자였지요.오펜하이머는 1904년 4월 22일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어요. 그가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6월 19일 0시,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원전)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완전한 가동 중단)에 돌입했다. 1977년 6월 19일부터 가동됐으니, 만 40년만의 일이다. 이후에는 어떤 과정이 기다리고 있을까. 원전 해체 과정을 전문가에게 들어본다. 원전 해체란 허가 받은 시설의 운영을 영구적으로 ...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관리한 상태에 따라 100년도 거뜬하다. 예상 2. 철근콘크리트가 다양하지 않아서다?최초로 콘크리트가 탄생한 시기는 화산회와 석회석을 이용해 건물을 지은 기원전 로마시대다. 이후 19세기에 포틀랜드시멘트가 발견되면서 1867년쯤에는 철망으로 보강된 콘크리트가 탄생했다. 그러니까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내렸다. 오로라에 항상 존재하는 보라색 빛이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밝은 밤에 대한 최초의 과학적 기록이다).대기의 파동들이 중첩되면서 대기광이 강해진다필자(고든 셰퍼드 교수)는 캐나다 매니토바 주 허드슨 만 기슭의 처칠 지역에서 오로라 연구를 위해 로켓을 발사하면서 과학자의 길을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항성 간 우주선 바루나 호는 알큐비어 드라이브를 사용해 초광속 여행을 실현했고 최초로 다른 항성계에 도달하는 데 성공했다. 뎀베는 상대적 양자이론이 전공은 아니었지만, 이 거대한 배에서 생산되는 막대한 에너지의 대부분이 공간을 접고 펴는 데 사용된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진행 방향의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연립방정식으로 푸는 게임, 나야 나! 라이트 아웃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산업수학, 인공지능입니다. 2004년 캐나다 조합론연구소에서 주는 커크만 메달을 한국인 최초로 받았습니다. 2016년부터 대한수학회 수학문화 앰배서더로 활동 중이며, ‘감성 수학레드’라는 스타트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연구팀이 형광을 내는 개구리를 최초로 발견했어요. 그 주인공은 남아메리카에 사는 ‘물방울무늬 청개구리(Hypsiboas punctatus)’예요. 이 개구리의 크기는 3cm이고, 새벽이나 밤에 주로 활동해요.자연광에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초록과 노란색, 갈색이 뒤섞인 ... ...
- Part 1. 얼마나 ‘슈퍼’하길래?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많은 자동차 회사가 고성능 자동차를 만들지만 쉽게 ‘슈퍼카’로 인정받지 못한다. 최초의 슈퍼카 미우라가 그랬던 것처럼 슈퍼카는 넋을 놓고 볼만큼 아름다운 외모도 갖춰야 한다.아름답게 만든다는 게 말처럼 쉽지는 않다. 자동차를 디자인하려면 먼저 엔지니어로부터 차에 대한 정보를 받아야 ... ...
- [과학뉴스] 대장균으로 플라스틱 재료 합성!과학동아 l2017년 07호
- 플라스틱의 재료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은 세계 최초로 대장균을 이용해 테레프탈산(TPA)을 생합성했다. 테레프탈산은 폴리에스터 섬유나 페트(PET)를 만들 때 필요한 주원료로, 파라자일렌(p-xylene)이라는 물질로부터 합성한다.현재 공장에서 파라자일렌으로 ... ...
- [과학뉴스] 세포가 물질 이동시키는 새로운 경로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소낭 없이 물질이 이동하는 경로를 우리나라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이창욱 UNIST 생명과학부 교수와 전영수 GIST생명과학부 교수 공동연구팀은 소낭을 서로 교환하지 않는 세포 소기관 사이에도 물질 교환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엑스레이 구조법을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