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본 色(색)을 드러내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발표했어요. 사람이 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학적으로 정의한 최초의 색의 기준이었습니다. 현재까지도 국제적으로 사용하는 색 측정의 기본입니다.색공간★ 색을 3차원 공간에 좌표로 나타낸 개념이다.CIE1931 색공간은 ‘색대응 실험’을 통해 만들었어요. 이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고대인의 유전체 유사성을 분석하고 나면 민족의 이동을 알 수 있습니다.10만 년 전, 최초의 인류로 알려진 아프리카인은 가뭄이 들자 다른 곳으로 주거지를 넓혀갔습니다. 일부는 해안을 따라 이동해 지금의 호주로 정착했고, 일부는 북쪽으로 이동해 유럽 대륙에서 살았지요. 이렇게 인류는 ... ...
- [Future] 고리1호기 가동 중단 ‘방사성 때’ 어떻게 벗길까과학동아 l2017년 08호
- 6월 19일 0시, 국내 최초의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원전)인 고리1호기가 영구정지(완전한 가동 중단)에 돌입했다. 1977년 6월 19일부터 가동됐으니, 만 40년만의 일이다. 이후에는 어떤 과정이 기다리고 있을까. 원전 해체 과정을 전문가에게 들어본다. 원전 해체란 허가 받은 시설의 운영을 영구적으로 ... ...
- [과학뉴스] 배 위에서 틸트로터 무인기 자동이착륙 성공!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움직이는 선박 위에서 틸트로터 무인항공기를 자동 조종으로 이착륙시키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지난 7월 11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비행체계연구팀은 바다에서 약 10노트(시속 약 18km)로 전진하는 선박 ‘바다로 호’에서, 자체 개발한 200kg급 틸트로터 무인기 ‘TR-60’를 자동 이륙시켰다. 그리고 ... ...
- [Photo] 한 조각 붉은 마음을 품은 철, 적철석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지각에 존재하는 화합물이 아닌 자연철은 매우 드물기 때문에 최초로 인간이 사용하게 된 철은 하늘에서 떨어진 운석 철이었을 것으로 짐작할 뿐이다. 청동기 등 금속 문명이 등장한 이후 제련 기술을 익혀 철광석에서 철을 제련해 사용하게 된 것은 대략 기원전 1500년경으로 ... ...
- [Career] “수학, 미래 암호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일이 거의 불가능하다.윤 교수팀은 이런 알고리즘 중 하나인 HMAC의 양자 안전성을 최초로 밝혔다. 양자 안전성은 양자 계산 능력과 양자 통신 능력을 동시에 갖는 공격자에 대해 안전하다는 뜻이다. 즉, 양자컴퓨터가 개발된 뒤에도 뚫릴 위험이 없다. 윤 교수는 “앞으로도 새로운 암호 알고리즘을 ... ...
- [Future] 전자기파 우주선 가능할까? 차세대 엔진, 심우주로 쏴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전기자동차 등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배터리의 효율이 빠르게 개선됐고, 로켓랩이 최초의 전기모터 엔진을 개발했다. 로켓랩은 원자핵을 발견한 뉴질랜드 출신의 물리학자 어니스트 러더퍼드의 이름을 따서 전기모터 엔진에 ‘러더퍼드’라는 이름을 붙였다.러더퍼드 엔진은 약 2.2t의 질량을 가진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좋으니까, 아직은 둘이 좋으니까” - 000 피임약 광고 中 피임도 마찬가지다. 1960년 세계 최초의 경구 피임약, ‘에노비드10’이 개발된 이후 여성용 경구 피임약은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꾸준히 발전해 왔지만, 아직까지 시판되고 있는 남성용 피임약은 단 한 개도 없다. 피임약에서만큼은 60년에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장화 신은 고양이가 슈뢰딩거를 만났을 때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내게 일어날 법한 ‘많은 세계’미국의 물리학자 휴 에버렛 3세는 많은 세계 해석을 최초로 제안했지. 브라이스 디윗은 에버렛의 해석을 널리 알렸지만 아무런 의문이 없었던 것은 아니었어. ‘내가 여러 세계로 분리돼 나가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고 생각했지. 그러자 에버렛은 “초속 30km로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대학교 연구팀이 형광을 내는 개구리를 최초로 발견했어요. 그 주인공은 남아메리카에 사는 ‘물방울무늬 청개구리(Hypsiboas punctatus)’예요. 이 개구리의 크기는 3cm이고, 새벽이나 밤에 주로 활동해요.자연광에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초록과 노란색, 갈색이 뒤섞인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