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다루기에 앞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과학동아는 2030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세계 최초로 90세를 넘긴 것을 기념하며, 특집에 90세 즈음의 어르신들을 담았다. 촬영에 흔쾌히 응해주신 전북 순창군 순창읍의 이영란 할머니, 김복순 할머니, 황금순 할머니, 신창우 할아버지, 순창군 복흥면의 ... ...
- Part 1. 도시 역사와 함께 흐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문화 등이 발달한 곳이에요. 5000년 전 오늘날의 이라크 지역인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최초로 도시가 탄생했죠. 당시 농업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이 한군데에 살기 시작했고 먹을 것이 풍족해지자 종교, 권력, 상업이 등장하면서 도시가 만들어졌어요.10세기 경 유럽에서는 상업이 발달하면서 소규모의 ... ...
- [매스미디어]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웃음을 선사했고, 우정과 희생정신을 앞세워 멋지게 은하계를 지켜냈다. 덕분에 마블 최초의 유쾌한 영웅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2014년 전 세계 흥행수익 3위로 역대 마블 영화 중 다섯 번째로 많은 수익을 올렸다.마블의 영웅으로 무사히 합류한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가 3년 만에 두 번째 영화로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류로 진화하고(왼쪽), 이것이 다시 육상식물로 진화했다(오른쪽). 메타게놈 분석… 최초로 세균 계통수 그려최근 호주 퀸즐랜드대 화학및분자생물학과 로셸 수 연구원팀은 광합성의 기원을 추정해낼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놨다. 광합성을 하는 다양한 남세균의 유전자를 읽은 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자연에서 답을 찾다!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자동차들을 만날 수 있는 곳이 있어요! 바로 FOMA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이에요. 우리나라 최초로 세워진 자동차 디자인 미술관이지요. 기자단 친구들과 함께 가 볼까요? 자연은 최고의 디자이너꽃과 나비 등이 담긴 거대한 사진 작품과 여러 곤충 표본들, 단풍나무 씨앗과 6m에 이르는 거대한 앵무조개 ... ...
- [수학뉴스] 색깔 마술사 도마뱀의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쥬얼드 라세타 도마뱀은 갈색 반점을 몸에 지니고 태어나요. 생후 5개월이 되면 서서히 검정색과 초록색이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최근 마이클 밀린코비치 스위스 제네 ... 얻었어요. 밀린코비치 교수는 “쥬얼드 라세타는 세포자동자 개념이 살아 움직이는 최초의 사례”라고 말했답니다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순간이동처럼 순식간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특히 중국은 2016년 8월, 세계 최초로 양자통신위성 ‘묵자호’를 쏘아올리는데 성공했다. 묵자호는 2018년까지 500km 상공의 우주궤도에서 지상과 양자통신을 시도한다. 판젠웨이 양자과학실험위성 수석과학자는 당시 JTBC와의 인터뷰에서 “빛의 80%가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직전 단계의 생명체들을 ‘다이노소로몰프’라 부른다. 이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의 지배파충류를 일컫는 가상의 동물 ‘테코돈트’가 있지만 명확히 증명된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대부분의 공룡학자들은, 공룡이 처음 진화돼 나왔을 당시부터 뒷다리가 앞다리보다 크게 발달해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여러 숙주 전전하며 유전자 끌어 모아 거대한 바이러스가 발견된 건 이번이 다섯 번째다. 최초의 거대 바이러스는 1992년 발견된 ‘미미바이러스(Mimivirus)’ 다. 당시 과학자들은 지름이 500nm, 유전체 염기쌍이 100만 개가 넘는 이 바이러스를 박테리아라고 생각했다.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노이부르크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말했다.혀로 치아를 쓸었다. 상상하자 잠깐 소름이 돋았다. 현미경을 발명해 최초로 미생물을 들여다 본 안톤 반 레벤후크가 자신의 치아 속에 붙어있던 미생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장면을 읽은 참이다. 저자의 말처럼, (인생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상기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몸은 거대한 미생물 ... ...
이전1311321331341351361371381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