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들어진 뒤, 닭이 부화했다고 볼 수 있어요. 또는 닭의 조상에게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 최초의 닭이 만들어진 뒤, 달걀을 낳았다고 볼수도 있지요. 하지만 진화는 오랫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 역시 논란이 많답니다.닭 속에 백신 있다?올 겨울 독감이 크게 유행하고 있어요. 독감에 ... ...
- [과학뉴스] 그래핀으로 나노레이저의 성질 자유자재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최초로 관측했다.박 교수는 “나노레이저 빛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발견했다”며 “미래 광학컴퓨터 개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6년 12월 21일자에 게재됐다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톰즈’를 보며 꿈을 키운 구라타 고고로는 요시자키 와타루의 도움을 얻어 세계 최초로 탑승형 거대 로봇을 만들었다.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받아서인지, 구라타의 겉모습은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보던 익숙한 모습 그대로다. 4m 높이에 4.5t이나 되는 육중한 몸매를 자랑하고, 네 다리에 달린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 ... ...
- [Origin] 사기꾼에게 한 번 속지, 두 번 속나?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는 ‘이기적 유전자’에서 가상의 새를 들어 상호성의 원리를 설명했다. 이 새들은 아주 위험한 전염병을 옮기는 진드기에 시달린다. 그래서 허 ... 작동함을 명쾌히 입증하지도 못했지만, 그는 비친족간의 관계도 혈연 관계 못지않게 중요함을 최초로 밝혔다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걸린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각 동물을 감염시키는 능력이 다르다. 79쪽에서 확인!) 최초로 개와 사람 간에 전염이 일어난 셈입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호흡곤란과 출혈 등 증세가 있는 애완동물은 반드시 보건소에서 변종 플루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확진 판정을 받은 애완동물은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한 구애 행동이라는 결론을 내렸어요. 이 연구는 흔적화석을 통해 공룡의 구애 행동을 최초로 밝혔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지요. 그동안 고생물학자들은 일반적인 동물들처럼 수컷 공룡이 구애 행동을 했다고 생각했어요. 뿔공룡의 경우 암컷에 비해 화려하고 큰 돌기를 갖고 있어요. 또 일부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유도 방식 중 하나인 ‘다이폴 코일 공진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해 5m 거리에서 209W, 7m에서 11W, 10m에서 10W 까지 보낼 수 있는 장거리 무선전력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이로써 임 교수는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이 근본적으로는 차이가 없다는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별 탄생의 역사를 연구할 예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으로 초기우주를 밝히는 열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반도체 회로의 기본 구조가 돼 온 상보성 회로를 3진법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6년 12월 19일자에 발표됐다(doi:10.1038/srep39353).>> 김경록 교수팀이 고안한 3진 금속산화막반도체(Ternary CMOS)김경록 교수팀이 제안한 3진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