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만들어진 뒤, 닭이 부화했다고 볼 수 있어요. 또는 닭의 조상에게 유전자 변형이 일어나 최초의 닭이 만들어진 뒤, 달걀을 낳았다고 볼수도 있지요. 하지만 진화는 오랫동안 점진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 역시 논란이 많답니다.닭 속에 백신 있다?올 겨울 독감이 크게 유행하고 있어요. 독감에 ... ...
- [Future] 큰 녀석들의 전쟁, 거대 로봇 삼국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보톰즈’를 보며 꿈을 키운 구라타 고고로는 요시자키 와타루의 도움을 얻어 세계 최초로 탑승형 거대 로봇을 만들었다.애니메이션에서 영감을 받아서인지, 구라타의 겉모습은 일본 애니메이션에서 보던 익숙한 모습 그대로다. 4m 높이에 4.5t이나 되는 육중한 몸매를 자랑하고, 네 다리에 달린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하며, 연구를 발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연구를 시작한 지 2년 만에 두 사람은 최초로 반도체에 나노 구조체를 디자인해 광흡수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해 그 결과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2016년 4월호에 표지 논문으로 발표했다. 조 교수는 “특정 파장에서만 빛을 잘 ... ...
- Part 1. 변종 플루 HXNX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걸린다. 바이러스의 종류에 따라 각 동물을 감염시키는 능력이 다르다. 79쪽에서 확인!) 최초로 개와 사람 간에 전염이 일어난 셈입니다. 이에 따라 보건당국은 호흡곤란과 출혈 등 증세가 있는 애완동물은 반드시 보건소에서 변종 플루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확진 판정을 받은 애완동물은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 ... ...
- Part 2. 수학이 새로운 언어마저 만들었다?수학동아 l2017년 02호
- 1970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 요릭 윌크스는 중간언어를 활용한 자동번역 시스템을 최초로 만들었다. 인터링구아가 활약한다면 번역은 훨씬 쉬워질 것이다. 직접 학습하지 않은 언어쌍도 학습한 언어쌍만큼 정확도가 높아진다면, 적은 데이터로도 좋은 번역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지금은 8개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데도 왜 못 믿는 걸까. 그 이유는 경찰이 활용하는 페르미 추정의 용도에 있다.세계 최초의 핵반응로를 만든 ‘핵시대의 설계자’ 엔리코 페르미는 괴짜 물리학자였다. 수업 시간에 “시카고에 피아노 조율사는 몇 명일까?”하고 묻는가 하면 더러운 창문을 보고 유리에 쌓이는 먼지의 최대 두께는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정도의 차가운 물에서만 살 수 있다는 반전의 개구리는 권 교수의 트레이드 마크다. 세계 최초로 이 개구리의 유전체를 모두 해독해 2016년 네이처 10월 20일자 표지를 장식했기 때문이다. 7년 만의 성과로, 2009년부터 무려 7개국 60여 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대형 프로젝트였다.인간의 유전체를 모두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둔 두 사람, 토마스 에디슨과 니콜라 테슬라입니다. 1876년 에디슨은 뉴저지 먼로파크에 최초의 산업연구소를 세웁니다. 그곳에서 축음기와 전구를 발명했습니다. 그외에도 무려 1000개가 넘는 발명특허를 내며 에디슨은 ‘먼로파크의 마법사’로 불렸습니다. 에디슨의 또 다른 관심사는 전력 공급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별 탄생의 역사를 연구할 예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으로 초기우주를 밝히는 열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 ...
이전1351361371381391401411421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