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션 ➊ 강력한 방사성 물질을 피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레고를 제작해 주노에 태운 거예요.한편 갈릴레이는 자신이 만든 망원경을 이용해 최초로 목성이 가진 4개의 위성을 발견한 과학자예요. 이를 기리기 위해 갈릴레이 레고도 주노에 실려 목성으로 보내졌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목성을 비밀을 밝혀라! 탐사선 ‘주노’Part 1. 주노는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방향과 궤도를 바꾸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답니다. 일본의 ‘하야부사’는 2010년, 세계 최초로 소행성의 암석 표본을 지구로 가지고 온 탐사선으로 유명해요. 하야부사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이시구로 마사테루 교수님(사진)을 만나 보았어요~.Q 하야부사를 소행성으로 ... ...
- [현장취재 1, 2]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기원전 7000년 경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요. 이것은 인류가 꿀벌을 이용한 최초의 증거로 남아 있지요.”연구사님은 여왕벌과 수벌, 일벌의 일생을 비롯해 벌의 의사소통과 부지런함에 대해 강조하셨어. 그거 알아? 너희들이 티스푼으로 쉽게 떠먹는 1g의 꿀은 꿀벌이 20회 외출해서 8000송이의 ... ...
- 친환경 비행기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줄 아는 어린이가 되세요!오라클USA 팀을 소개해 주세요.비행기 날개 모양을 적용한 최초의 팀이에요. 아주 오래 전부터 더 빠르게 달리는 요트를 만들기 위해 매일 머리를 맞댔어요. 그러다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한다는 에어버스의 ‘샤크렛’을 알게 됐지요. 에어버스의 도움으로 샤크렛 모양의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수는 백두산 연구를 처음 시작한 순간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었다. 그는 세계 최초로 북한 당국의 허가를 받고 백두산을 연구한 과학자다. 사람들이 백두산에 관심을 두지 않을 때 백두산의 위험성에 주목한 이유를 물었다.“백두산은 젊고 폭발력이 큰 화산입니다. 백두산 폭발이 주변에 미쳤을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물건을 딱 하나만 가지고 여행을 떠나야 한다면 여러분은 무엇을 들고 갈건가요? 저라면 망설임 없이 스마트폰을 선택할 거예요. 스마트폰 하나면 검색부터 예약, ... 안타깝게도 해석기관 역시 설계도대로 완성하지 못했어요. 만약 완성했다면 해석기관이 최초의 컴퓨터가 됐을 거예요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하는 갈망이 발생하는 특성입니다. 이런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2월, 세계 최초로 프로포폴을 전문의약품에서 향정신성의약품으로 지정했습니다.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이렇게 분류한 이유는 의료 시스템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과 달리 1차 의료 기관, 즉 의원,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성공하면 분화할 가능성이 높은 대형 화산의 땅 속 마그마가 있는 깊이까지 구멍을 뚫은 최초의 사례가 된다.다행히 외국의 저명한 화산학자들도 백두산 연구에 관심이 많다. 백두산의 학술적 특수성 때문이다. 화산은 세 가지 종류가 있는데 일본이나 인도네시아, 칠레처럼 판의 경계 수렴대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한동안 가시지 않았다. 전세계 야생식물 자원 확보하고 특성 연구 [노르웨이가 세계 최초로 만든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의 입구. 이곳에는 주로 식량작물의 종자를 보관한다.]산림청은 2009년 야생식물 종자를 영구보관하는 씨드볼트를 처음 계획했다. 야생식물은 쉽게 말해 ‘잡초’다. 일부러 ... ...
- [Knowledge] 뉴턴에 날개 달아준 여성 물리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교육을 받았다. 1732년 볼로냐대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여성으로는 세계 최초로 대학교수가 됐다. 미국 스탠포드대 역사학과 파울라 핀들렌 교수는 논문에서 바시가 후원자들의 네트워크를 똑똑하게 활용해 남성 위주의 과학자 사회에서 성공할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DOI: 10.1086/356547). 당시 ... ...
이전1391401411421431441451461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