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찍은 사진은 니엡스가 찍은 사진보다 섬세한 명암 표현이 가능했다.그림 그리는 천문학자최초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약 400년 전으로 사진술이 나오기 전이다. 그렇다면 사진을 찍을 수 없던 시기에 천문학자들은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반도체 회로의 기본 구조가 돼 온 상보성 회로를 3진법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6년 12월 19일자에 발표됐다(doi:10.1038/srep39353).>> 김경록 교수팀이 고안한 3진 금속산화막반도체(Ternary CMOS)김경록 교수팀이 제안한 3진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내리지 못했고, 그 공을 유전물질인 DNA를 연구하는 과학자에게 넘기게 됐다.유전자 연구, 최초의 ‘집닭’ 위치 밝혀DNA를 이용해 닭의 조상을 찾으려는 시도는 1990년대 일본에서 시작됐다. 현재 일왕인 아키히토의 차남으로 생물학자였던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가 꾸린 연구팀은 1994년, 유전자 ...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데도 왜 못 믿는 걸까. 그 이유는 경찰이 활용하는 페르미 추정의 용도에 있다.세계 최초의 핵반응로를 만든 ‘핵시대의 설계자’ 엔리코 페르미는 괴짜 물리학자였다. 수업 시간에 “시카고에 피아노 조율사는 몇 명일까?”하고 묻는가 하면 더러운 창문을 보고 유리에 쌓이는 먼지의 최대 두께는 ...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별 탄생의 역사를 연구할 예정이다. 우주배경복사는 우주가 탄생하고 38만 년 뒤에 최초로 빛이 우주로 뻗어나가면서 남긴 흔적으로 초기우주를 밝히는 열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Part 2. 수학으로 풀어보는 망원경의 ... ...
- [과학뉴스]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을까. 중국과 캐나다, 영국 국제연구팀은 최근 호박에 갇힌 공룡의 꼬리 깃털을 최초로 발견해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6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심지어 이 깃털은 거의 완전한 모양으로 보존돼있었다. 연구팀은 이것을 컴퓨터단층촬영(CT)과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꼬리에 남아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스타워즈’의 그 루크에서 딴 이름이다!)’은 10만 달러(약 1억2000만 원)를 넘어서는 최초의 전자의수가 될 예정이다.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개인마다 절단 부위가 다르고 팔의 굵기도 달라 모든 의수를 개인 맞춤형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탄소섬유나 ... ...
- 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27년 벨기에의 천문학자 조르주 르메트르가 빅뱅이론의 시초인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이후, 빅뱅이론은 물리이론과 관측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연료 삼아 사변적 우주론에서 과학적 우주론으로 탈바꿈했다. 우주 진화 시나리오의 전체 그림은 얻게 됐지만, 의외로 아직 빠진 조각이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90년 전인 1927년, 벨기에의 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해 아래와 같은 현대의 표준우주모형이 완성됐죠. 한번 따라와 보시겠어요? 도저히 못 참겠다 싶으시면, 당신만 아는 걸 살짝 말씀해 주셔도 ... ...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둔 두 사람, 토마스 에디슨과 니콜라 테슬라입니다. 1876년 에디슨은 뉴저지 먼로파크에 최초의 산업연구소를 세웁니다. 그곳에서 축음기와 전구를 발명했습니다. 그외에도 무려 1000개가 넘는 발명특허를 내며 에디슨은 ‘먼로파크의 마법사’로 불렸습니다. 에디슨의 또 다른 관심사는 전력 공급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