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반도체 회로의 기본 구조가 돼 온 상보성 회로를 3진법 소자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최초로 보인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6년 12월 19일자에 발표됐다(doi:10.1038/srep39353).>> 김경록 교수팀이 고안한 3진 금속산화막반도체(Ternary CMOS)김경록 교수팀이 제안한 3진 ... ...
- [Origin] 길들여지지 않는 새, 이클립스 깃털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내리지 못했고, 그 공을 유전물질인 DNA를 연구하는 과학자에게 넘기게 됐다.유전자 연구, 최초의 ‘집닭’ 위치 밝혀DNA를 이용해 닭의 조상을 찾으려는 시도는 1990년대 일본에서 시작됐다. 현재 일왕인 아키히토의 차남으로 생물학자였던 아키시노노미야 후미히토가 꾸린 연구팀은 1994년, 유전자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장영실이 제작한 자격루는 12지신의 나무 인형이 오르내리며 정각을 알려 주는 우리나라 최초의 오토마타 물시계랍니다. 현대에 들어서 오토마타는 움직이는 인형이나 장난감의 모습을 갖춘 하나의 예술 분야로 자리잡기 시작했어요.인형의 갖가지 독창적인 움직임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 ...
- [과학뉴스]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수 있을까. 중국과 캐나다, 영국 국제연구팀은 최근 호박에 갇힌 공룡의 꼬리 깃털을 최초로 발견해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6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심지어 이 깃털은 거의 완전한 모양으로 보존돼있었다. 연구팀은 이것을 컴퓨터단층촬영(CT)과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꼬리에 남아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암(‘스타워즈’의 그 루크에서 딴 이름이다!)’은 10만 달러(약 1억2000만 원)를 넘어서는 최초의 전자의수가 될 예정이다.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개인마다 절단 부위가 다르고 팔의 굵기도 달라 모든 의수를 개인 맞춤형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무게를 가볍게 하기 위해 탄소섬유나 ... ...
- 빅뱅이론의 잃어버린 조각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927년 벨기에의 천문학자 조르주 르메트르가 빅뱅이론의 시초인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이후, 빅뱅이론은 물리이론과 관측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을 연료 삼아 사변적 우주론에서 과학적 우주론으로 탈바꿈했다. 우주 진화 시나리오의 전체 그림은 얻게 됐지만, 의외로 아직 빠진 조각이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년 01호
- 90년 전인 1927년, 벨기에의 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니다. 그 이후로 수많은 과학자들이 노력해 아래와 같은 현대의 표준우주모형이 완성됐죠. 한번 따라와 보시겠어요? 도저히 못 참겠다 싶으시면, 당신만 아는 걸 살짝 말씀해 주셔도 ... ...
- [공룡은 왜? 1화] 공룡의 구애 행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위한 구애 행동이라는 결론을 내렸어요. 이 연구는 흔적화석을 통해 공룡의 구애 행동을 최초로 밝혔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지요. 그동안 고생물학자들은 일반적인 동물들처럼 수컷 공룡이 구애 행동을 했다고 생각했어요. 뿔공룡의 경우 암컷에 비해 화려하고 큰 돌기를 갖고 있어요. 또 일부 ...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1호
- 기유도 방식 중 하나인 ‘다이폴 코일 공진 방식’을 이용했습니다. 그리고 세계 최초로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해 5m 거리에서 209W, 7m에서 11W, 10m에서 10W 까지 보낼 수 있는 장거리 무선전력시스템을 구현했습니다.이로써 임 교수는 자기유도 방식과 자기공명 방식이 근본적으로는 차이가 없다는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찍은 사진은 니엡스가 찍은 사진보다 섬세한 명암 표현이 가능했다.그림 그리는 천문학자최초로 망원경으로 우주를 관측한 사람은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물리학자, 수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다. 약 400년 전으로 사진술이 나오기 전이다. 그렇다면 사진을 찍을 수 없던 시기에 천문학자들은 ... ...
이전1361371381391401411421431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