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프랑스의 생물학자인 장 로스탕의 실험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해요. 장 로스탕은 최초로 동물 세포를 냉동시킨 과학자예요. 개구리의 정자에 글리세롤을 넣어서 얼린 결과, 정자의 세포를 망가트리지 않고 냉동시키는 데 성공했답니다. 로버트 에팅거는 사람도 냉동시켰다가 해동하면 다시 살아날 ... ...
- [지사탐 여름캠프] 국립생태원에서 펼쳐진 생물 탐사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6호
- 잘 알려진 ‘바오밥나무’의 꽃을 발견했다. 국내에서 바오밥나무가 꽃을 피운 건 최초다. 지사탐만을 위한 에코리움 나이트투어대원들이 가장 기대한 건 국립생태원 실내전시실인 에코리움 나이트투어예요. 나이트투어는 평소 일반에 공개되지 않는 야간 시간에 에코리움을 개장해 열대, 사막,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5호
- 이름이 붙은 배경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요. 첫째로는 티라노사우루스 뼈 화석을 최초로 발견한 연구원 이름이 ‘수 헨드릭슨’이기 때문이에요. 두 번째 이유는 이 티라노사우루스가 암컷이라서 여성적인 이름으로 불리게 됐다고 해요. 당시 발굴 현장에 있던 사람들은 이 티라노사우루스의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10시 56분, 아폴로 11호의 선장 닐 암스트롱은 달에 발을 내딛으며 이렇게 말했어요. 인류 최초로 지구 밖에 첫발을 디딘 역사적인 순간이었죠.1960년대 미국은 누구보다 먼저 달에 사람을 보내는 데 성공해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서 이기고 싶었어요. 그래서 달에 착륙할 우주선을 개발하는 ‘아폴로 ... ...
- [현장취재➋] 드론으로 미세먼지를 잡아라! 더스트 버스터즈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왜 드론으로 잡을까?지난 달 서울시는 우리나라 최초로 ‘미세먼지’를 자연재난으로 정하고 대책을 발표했어요. 그만큼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하단 말이지요. 미세먼지 해결에 가장 어려운 점은 미세먼지의 발생 원인을 밝히는 일이에요.더스트 버스터즈는 서강대학교 화학과 신관우 교수팀을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996년 7월 5일, 영국에서 ‘돌리’라는 특별한 양이 태어났어요. 돌리는 세계 최초로 ‘체세포’를 이용해 복제된 동물이에요.체세포는 난자나 정자 등 후손에게 전해지는 ‘생식세포’를 제외한, 생물의 몸을 구성하는 모든 세포를 말해요. 돌리는 6살 된 암컷 양의 체세포를 복제했기 때문에 이 양과 ... ...
- [쇼킹 사이언스] 빙하가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피의 폭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로버트 블랙 교수팀이 피의 폭포 속 철 이온이 산소와 만나면서 빨갛게 변한단 사실을 최초로 알아냈답니다. 하지만 여전히 그 물이 어디에서 나오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지요.그뒤 2003년, 미국 국가과학재단 베리 리옹 연구팀은 테일러 빙하 아래에 바다가 갇혀 있고, 그 바다로부터 피의 ... ...
- Part 2. [새 탐사선] 파커 솔라 프로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8월 19일 사이에 미국 플로리다에 있는 NASA의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에요. 최초로 태양 표면에 640만 km 이내로 접근해 코로나 영역까지 탐사할 계획이랍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션 임파서블, 펄펄 끓는 태양을 탐사하라!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Part 2. [새 ... ...
- Part 1. [탐사일지] 태양 탐사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시작으로 여러 행성과 태양에 탐사선을 보냈는데, 1959년 발사한 ‘파이어니어 5호’가 최초의 태양 탐사선이에요. 그리고 NASA는 1965년부터 1968년까지 1년 간격으로 파이어니어 6, 7, 8, 9호를 태양에 보내서 본격적으로 태양 탐사를 시작했어요. 이후 유럽우주국(ESA)과 일본 등 여러 나라들이 태양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과육이 특징이다.시트룰러스 라나투스는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이집트 나일강 근처에서 최초로 재배됐을 거라 추정돼요. 그 뒤 7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거치며 전세계의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3세기, 고려시대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시작이었지요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