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매스시티 맵 만들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독일 프랑크푸르트 뢰머광장 | 프랑크푸르트는 요한 볼프강 괴테의 집이 있는 곳으로, 조금 위쪽 괴팅겐은 괴팅겐대학교가 있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괴팅겐대는 카를 가우스, 베른하르트 리만, 다비트 힐베르트 등 독일 최고 수학자들이 거쳐 간 곳이랍니다. 나미비아 빈트후크 나미브 ... ...
- part 3. 최석정의 10차 라틴방진은 ‘아벨 군’?수학동아 l2018년 12호
- 아벨이 5차 방정식의 근의 공식이 없다는 것을 증명했고, 그 과정에서 군 중에서도 조금 특별한 아벨 군을 고안했죠. 이때가 19세기 초반이니까 최석정이 살았을 때보다 약 100년 뒤입니다. 그런데 최석정이 남긴 라틴방진이 아벨 군의 덧셈표와 같다니 놀라지 않을 수 없었죠. 아쉬운 점은 별다른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수 있고 나와 생각이 다를 수 있다. 책을 읽는다는 것은 저자와 대화를 하는 것이다. 조금 더 공격적으로 표현하자면 저자와 토론을 해도 좋다. ‘이 사람은 이렇게 말했는데, 이게 정말 맞는 걸까?’라고 생각하며 다른 이들의 주장을 찾아봐도 좋고, 교사나 부모의 의견을 물어도 좋다. 혹은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여기에 소프트웨어인 AI를 넣으면 ‘실물’을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물론 조금은 먼 미래의 일일 겁니다. 그런데 장 수석연구원은 “하드웨어 기술은 아직 물리적인 제한이 많지만, 가상현실(VR)의 아바타 형태처럼 ‘실체’가 있기만 해도 애정을 느낄 수도 있을 것 같다”며 “예를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교실에 학생들이 삼삼오오 모여 앉아 노트북을 열고 있는 모습이 낯설다. ‘쉬는 시간이라 게임을 하고 있나’라는 생각이 머리를 스 ... 갖게 됐다. 생물학에 관심이 많은 김 군은 “질병에 대한 데이터를 모아서 분석한 뒤 조금 더 효과적인 약을 만드는 연구를 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 ...
- 우수영 서울시립대 입학처장 - “서류 비중 높여 면접 부담 줄였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1918년 일제강점기 경성공립농업학교에서 출발한 서울시립대는 올해로 개교 100년을 맞았다. 서울시립대는 학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올해 6월 영국 QS 세계 ... 따른 감점 폭을 2018학년도보다 좁혔기 때문에, 영어 성적이 정시에 미치는 영향은 작년보다 조금 줄어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 ‘영원’을 쫓는 수학자, 2018 대한수학회 학술상 최영주 포스텍 교수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확인하던 중 아주 간단한 코딩 실수를 했더라고요. 결국 연구가 옳다는 게 증명됐고 조금 더 확장해서 정리로 완성됐어요. 그 사건 후로 천재뿐 아니라 신의 말도 듣지 말고 내가 하고 싶고 옳다고 믿는 것을 하자고 다짐했어요. 만약 재기어 말만 듣고 문제 풀기를 주저했거나 틀렸다는 말에 바로 ... ...
- [팩트체크 1] 남북, 65년만에 평화로운 분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보니 남북 두 정상의 이야기로 가득해. 무슨 일이 일어난 건지 기사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 [2018년 4월 27일] 제3차 남북정상회담 결과, 판문점 선언 발표! “한반도에서 더 이상 전쟁은 없을 것이며 새로운 평화의 시대가 열렸음을 겨레와 세계에 엄숙히 천명하였다.”지난 4월 27일, 우리나라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단 발사를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하늘이 도운 것일까. 조금 기다리자 비바람이 잦아들고 구름이 걷혔다. 이때 시각이 10시 10분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발사 준비에 문제가 생겼다. 로켓에 질소 가스를 주입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소량 누출됐다. 권 교수는 “로켓을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선임연구원은 “멜라닌은 굴절률이 굉장히 큰 편”이라며 “멜라닌의 크기나 모양이 조금만 달라져도 빛의 굴절각이 달라져 다양한 색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색체가 아닌 물질의 구조에 의해 빛이 꺾이면서 나타나는 색을 ‘구조색’이라고 부른다. 이 선임연구원은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