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연구일지에 적힌 수수께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물질이에요. 쌍꺼풀의 유무, 코와 입, 귀의 모양 등이 몸속 DNA에 저장돼 있지요. DNA는 주로 세포의 핵 속에 포함되어 있답니다. 그런데 혈액을 구성하는 성분인 적혈구와 혈소판에는 핵이 없어요. 따라서 DNA도 존재하지 않지요. 적혈구의 경우에는 조혈모세포가 적혈구로 분화할 때 핵이 세포 밖으로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모두 검사하기 시작했지요. 개미가 주로 집을 짓는 바닥의 틈이나, 화단과 철길 가장자리들을 일일이 뒤졌어요. 또 먹이 함정 3400여 개를 설치해서 지하에 사는 개미들을 유인했지요. 전문가들은 외래 붉은불개미가 컨테이너에 실려 우리나라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후두둑, 비듬을 닮았다?! 꿩의비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수분을 많이 저장하는 다육식물인데다가 꽃이 예뻐서 관상용으로 기르기 쉽거든요. 주로 ‘불로초’라는 상품명으로 많이 팔리고 있지요. 하지만 관상용으로 기르는 것들은 대부분 꿩의비름속에 속하는 ‘세잎꿩의 비름’이나 ‘둥근잎꿩의비름’인 경우가 많답니다. 꽃집에서 별을 닮은 꽃에 ... ...
- [특별 인터뷰] 지구사랑 탐사대, 탐사 내공으로 연구도 척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왜 산벚나무를 연구했나요?경상남도에 있는 해인사로 여행을 하던 중 팔만대장경이 주로 산벚나무로 만들어졌다는 사실을 알게 됐어요.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목판인 팔만대장경의 형태가 지금까지 오롯이 보존된 것이 정말 신기했어요. 그 비밀이 산벚나무에 있는 것은 아닐까 궁금했지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방출(放出)’은 ‘한꺼번에 확내놓는다’라는 뜻을 가진 한자어예요. 과학에서는 주로 에너지나 빛이 나올 때 ‘방출(放出)’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요. ‘놓을 방(放)’은 사람을 회초리로 때리는 형벌을 의미하는 ‘칠 복(攵=攴)’과 여러 방향으로 퍼져나간다는 뜻의 ‘모방(方)’이 합쳐져서 ... ...
- Part 2. 부리, 다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여과 장치를 가지고 물속의 먹이를 걸러 먹는 생물을 ‘여과 섭식 동물’이라고 해요. 주로 조개와 크릴, 수염고래 등이 여기에 속한답니다. 한편, 홍학은 보통 다른 동물과 먹이 경쟁을 하지 않아요. 염분이 매우 높고, ●pH가 10 이상으로 강한 염기성을 띠는 호수나 바닷가에 살기 때문이지요. ●pH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 산림생물 바로알기 탐험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종자 은행 등의 연구 시설도 있지요. 이번 체험에서 지사탐 대원들이 주로 둘러본 곳은 전시원이랍니다. 여기엔 전문가들이 원산지에서 직접 채집하고 번식시킨 수천 종의 식물들이 용도와 특성에 따라 심어져 있지요. 또한 광릉숲은 조선 제7대왕인 세조가 ●능림으로 지정한 뒤, 550년 동안이나 ... ...
- Part 3. 모래, 사라지면 모두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모래까지 바다로 이동하면서 바닷가의 백사장이 줄어들게 되지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먼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기 때문에 육지보단 채취가 이뤄지는 곳 주변 섬들의 피해가 커요. 실제로 모래 채취 지역과 가까운 인천 사승봉도에서는 3년마다 20%의 모래가 사라지고 있어요. 해안가의 모래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됐지요. ‘중요(重要)하다’, ‘소중(所重)하다’ 등에도 쓰여요. 한편, ‘틀 기(機)’는 주로 어떤 단어 끝에 붙어 기계 등을 나타낼 때 쓰여요. 뜻을 나타내는 ‘나무 목(木)’에 음을 나타내는 ‘몇 기(幾)’가 더해져 여러 기계 장치를 뜻하게 됐답니다 ... ...
- Part 4. 모래, 다양한 생물의 보금자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이유로 해안사구가 발달한 지역의 뒷쪽에는 마을이 들어선 경우가 많아요. 주민들은 주로 담수를 이용해 농사를 짓고 산답니다. ●담수 : 강이나 호수의 물처럼 염분이 거의 없는 물. 생태계의 보물창고, 해안사구해안사구에는 다양한 생물이 살아요. 갯그령 같은 식물부터 이 식물을 먹이로 하는 ... ...
이전1171181191201211221231241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