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하나 고르라면 단연 페스트(흑사병)다. 당시 페스트균은 벼룩을 숙주로, 벼룩은 쥐를 숙주로 삼아 생존하며 인간을 감염시켰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한 번도 발생한 기록이 없고, 전 세계 발생의 98.7%는 알제리, 콩고공화국, 마다가스카르 등에서 발생한다. 페스트균에 감염되면 크게 세 가지 ... ...
- [SW 기업 탐방] 수학 원리로 듣는 스피커, 리슨~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디자인대로 만들 수 있다. 설계에는 수학이나 과학개념을 이용한다면, 아이디어는 주로 사회문제에서 떠올린다. 예를들어 한참 미세먼지가 문제됐을 때가 있었다. 급기야 고등어를 구울 때 연기에서 미세먼지가 많이 나온다는 얘기가 나왔다. 처음에는 과민한 반응이라 여겼지만, 곧 실제로 ... ...
- [Issue] 고래사냥꾼 추적하는 ‘오션 워리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손호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고래연구센터 연구관은 “일본 포경선이 주로 포획하는 종은 밍크고래”라며 “밍크고래는 전 세계에 약 20만 마리가 서식할 만큼 개체수가 많아 멸종위기 등급 최하 단계인 안정(least concern)에 속한다”고 말했다. 9단계 등급 가운데 전문가들이 개체 수에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성해 책을 펴내는 데까지 이르렀다는 점이 고무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서구 과학사만 주로 다룬다는 점이 사뭇 아쉽다. 이는 빅히스토리도 자주 비판 받는 지점이다. 과학적 교양을 함양한 시민이 되는 데는 특별한 조건이 필요치 않다. 꼭 대학에서 강의를 듣지 않더라도, 이런 교양서를 통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추정돼요. 아무것도 입지 않은 맨몸에 어깨에 둘러 멘 돌칼을 강조한 것이 특징이지요. 주로 종교나 장례의식에 사용됐답니다”박상희 도슨트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며 동물 모양의 석상도 둘러보았어요. 말과 매, 양, 개 등 모양이 매우 다양했지요. 아라비아 사람들은 주변에 함께 살았던 동물들의 ...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사람들이 식용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거든요. 나머지 두 종류는 단맛보다 쓴맛이 강해서 주로 씨앗을 개량하기 위한 연구나 가축 사료용으로 길러져 왔답니다.◀ 사람이 재배하기 전의 야생 수박은 지름이 5cm 정도, 당도가 2~6브릭스 정도인 작고 쓴 열매였다. 또 지금의 수박과 달리 하얀 과육이 ... ...
- [과학뉴스] 롱패딩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구입이 불가능하다. 거위나 오리털 패딩의 보온성이 뛰어난 이유는 뭘까. 거위와 오리는 주로 물에서 생활한다. 물속에서는 공기 중에서보다 더 쉽게 열을 뺏기기 때문에 물새들은 목 아랫부분, 가슴, 배 아랫부분, 날개 아랫부분에 솜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 솜털은 깃털보다 더 많은 공기를 머금을 ... ...
- [과학뉴스] 세균도 촉각이 있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주변 환경을 인지하고 그에 맞춰 활동한다. 지금까지는 화학적 신호를 감지하는 원리가 주로 연구돼 왔는데, 최근 스위스 바젤대 연구팀의 연구 결과 세균이 물리적인 감각도 인지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세균은 점막이나 장 안쪽 피부를 통해 침투한다. 세균이 점막에 접촉하는 최초 몇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카메라에는 어둡게 찍혀서 무용지물인 경우도 많긴 하지만 말이야. 이번에는 우리가 주로 어디에서 무엇을 사냥하는지가 궁금했나 봐. 우리는 다양한 생물들을 촬영해줬어. 크릴은 보통 먼 바다와 해저 양쪽에서 모두 살지만 멍게와 친척뻘인 살프는 먼 바다에 많이 살고 있어. 그런데 바다에 ...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흑호 등 다양하다. 이중 광맥보리는 추위에 강하다. 맥주보리는 보통 추위에 약해서 주로 전남, 경남, 제주 지역에서 재배되는데 광맥보리는 강원도 철원에서도 자란다. 전북 전주에는 이런 광맥보리를 재배해 만든 수제맥주가 있다. 박 연구사는 “재배법을 개선하면 국내 농가에서도 충분히 ... ...
이전120121122123124125126127128 다음